![[출처= ]](https://cdn.ebn.co.kr/news/photo/202503/1655960_669122_3938.jpg)
국내 대기업 상장사들이 잇따라 대규모 유상증자를 단행한 것을 두고 투자자들의 반발이 거세다. 장기간 부진에 빠졌던 국내 증시가 이제 막 상승세를 탄 상황에서 기업들이 기습 유상증자 정책으로 기존 주주들의 피해를 키웠다는 이유에서다.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20일 3조6000억원 규모의 유상 증자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국내 기업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다.
유상증자는 회사가 주식을 새로 발행해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말한다. 기업 입장에서는 자본 조달을 위한 손쉬운 방식 중 하나로 꼽힌다. 반면 시장에 유통되는 주식 수가 늘면서 기존 주주들은 지분 희석에 따른 피해가 불가피하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유상증자 배경으로 침체한 업황 속 '지속 성장'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밝혔으나, 증권가에서는 유상증자를 대체할 자금조달 방법이 없었느냐는 지적이 나온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해 연결 영업이익으로 3조5000억원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현 상황에서 투자금 조달 방식으로 유상증자를 택한 것이 의아하다는 반응이다.
실제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가는 전날 유상증자 발표 이후 급락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18일 장중 78만원을 넘기며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던 주가는 이날 오후 2시 50분 기준 전날 대비 13.02% 급락했다.
기습 유상증자 정책으로 논란을 키운 것은 비단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뿐만은 아니다.
앞서 삼성SDI는 지난 14일 2조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해 주주들의 걱정을 키웠다. 당일 삼성SDI 주가는 6.18% 급락하며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 삼성SDI는 유상증자로 조달한 자금을 시설투자 확충에 사용하겠단 방침이다.
정경희 LS증권 연구원은 당시 유상증자에 대해 "매각 가능한 자산이 있음에도 자기자본 펀딩 방식을 취한 점은 투자자 관점에서 아쉬운 부분"이라며 "당분간 주가에 다운사이드 리스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 지난해 10월 30일에는 영풍·MBK파트너스와 경영권 분쟁 중인 '고려아연'이 2조5000억원 규모에 달하는 유상증자를 기습 결정했다.
고려아연 주가 역시 관련 공시 직후 하한가를 치며 곤두박질쳤다. 다만 금융감독원이 정정신고서 제출을 요구한 끝에 유상증자 계획이 철회됐다.
일각에서는 감시·규제권을 가진 금융당국이 기업들의 기습 유상증자를 사실상 방조하고 있다는 불만도 나온다.
이를 테면 삼성SDI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를 중점심사 대상으로 선정하고는 결론도 나기 전에 긍정적 입장을 밝히는 등 시장의 혼란을 초래했다는 지적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전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공시 직후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중점 심사 대상으로 심사하겠다고 밝히는 한편 "엄청나게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19일에도 "삼성SDI의 투자 건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며 "최대한 신속히 투자자금 조달 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심사를 처리하겠다"고 언급했다.
투자자들 역시 대기업 상장사와 금융당국에 대한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한 투자자는 온라인 토론방에서 "주가가 최고가에 달한 시점에서 유상증자를 한다는 것은 기업 마인드 자체가 글렀다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또 다른 투자자는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일반 주주로까지 확대하는) 상법 개정 이전에 기어이 한탕을 하고 마는구나"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