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지난 1월 18일 전남 장성군 소재 정부 농산물 비축기지를 찾아 현재 보관 중인 겨울배추·무의 품위 상태를 점검했다. [출처=농식품부]](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60344_674288_2137.jpg)
기후변화에 따른 농산물 수급 불안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비축' 시스템 강화를 본격화한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홍문표)는 지난 23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제2차 기후변화 대응 현장 포럼'을 개최하고 정부 비축기지의 현대화 및 저장기술 확장을 골자로 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24일 밝혔다.
현재 운영 중인 정부 비축기지는 14곳이지만, 일부는 노후화로 인해 기후변화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노후 비축기지 6곳을 매각하고, 신규 비축기지 3곳을 설립하는 방식으로 ‘광역화·현대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문인철 aT 수급이사는 "기후위기로 인한 수급 불안 상황에서 비축기지의 광역화는 효율적 농산물 비축·유통의 전초기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계획은 향후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본격 추진될 예정이다.
이번 포럼에서는 저장기술 고도화 방안도 주요 안건으로 다뤄졌다. 특히 상습 수급 불안 품목인 배추에 대해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는 'CA(Controlled Atmosphere) 저장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저장 기한을 30일가량 연장할 수 있다.
이 기술이 보편화되면 9월과 같은 단경기에도 충분한 물량 확보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배추 외의 다른 원예농산물에 대해서도 저장기한 연장 기술이 추가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홍인기 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농산물 정부 비축 역량을 강화해 공급 절벽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며 "기후변화에 대응한 안정적 공급을 위해 관계 부처와 유관기관 간 협업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는 농식품부, 환경부, 농촌진흥청을 비롯한 관계 기관과 전문가, 농업인 단체, 소비자 단체 등이 참석해 비축 시스템의 실질적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중장기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공급불안 시대’에 대응해 원예농산물의 공급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특히 국민 식생활과 밀접한 5대 채소(무, 배추, 양파, 마늘, 고추) 중심의 가격 변동률을 향후 10년간 10% 이하로 안정화시키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데이터 기반 생산관리 △국내외 재배적지 확대 △비축 역량 강화 △계약재배 확대 △스마트농업 도입 △저탄소 농업 프로그램 개선 △유통구조 효율화 등의 3대 전략과 12대 중점 과제를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