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청. [제공=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6/1664911_679594_2913.png)
공사비 증액으로 시공사와 조합 간 갈등을 겪던 노량진6구역이 6개월 만에 합의를 마무리하고 조만간 공사에 들어갈 전망이다.
서울시는 2일 노량진6구역에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해 공사비 증액 문제를 중재한 결과, 시공사와 조합 간 증액 조정이 합의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당초 노량진6구역 재개발은 설계 변경과 연면적 증가에 따른 922억원, 물가 상승과 금융 비용 등으로 인한 1272억원을 포함해 총 2194억원의 공사비 증액을 시공사가 요구하면서 갈등이 심화됐다.
이에 서울시는 지난해 10월부터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해 시·자치구·조합·시공사가 참여하는 조정 및 중재 회의를 지속적으로 열었다.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는 건축·도시계획·법률 등 전문가로 구성돼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조정한다.
서울시는 최초 증액 요청액과 추가 요청액을 모두 검토해 1976억원 규모의 중재안을 마련했고, 지난 4월 29일 최종 합의안을 도출했다. 이후 조합은 지난달 31일 시공사 도급 계약 변경안을 의결하며 공사비 증액 문제가 일단락됐다.
현재 서울시는 노량진8구역, 월계동 487-17 등 5개 구역에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해 공사비 분쟁 조정 및 중재를 진행 중이다.
특히 최근 공사비 증액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입주 제한이 불가피하다는 우편물을 조합원에게 발송한 행당7구역에도 코디네이터를 파견해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응하고 있다.
관련기사
- 분양 시장 최대 성수기 5월도 침체...건설사 '울상'
- [건설사 CEO 포커스⑧] 금호건설 조완석 대표, 실적·신뢰 다 잡았다
- “안전 담보 안돼”…현대건설, 가덕도신공항 부지조성공사 불참 선언
- ‘동탄호수공원 대방 엘리움 레이크파크’, 4일 무순위 청약 접수
- 정부, '청소년 한부모'에 출산·양육 서비스 정보 제공 의무화
- 중기중앙회, 공제기금으로 중소기업 금융지원 확대
- 21대 대선 정오 투표율 22.9%…1천만명 돌파
- “시민과 개발이익 공유”…서울시, ‘지역상생리츠’ 도입 추진
- 서울시, '사이버보안 조례' 첫 제정…해킹 예방·대응 역량 강화
- 서울시, '3차 노동정책 기본계획' 수립 위해 각계 의견 청취
- “노른자 땅”…용산·개포·압구정·성수 도시정비 수주 ‘별들의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