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삼성바이오로직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06/1666726_681696_1831.jpg)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미국 보스턴에서 본격적인 홍보에 나선다. 글로벌 최대 규모의 바이오 전시 행사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 USA)이 미국 보스턴에서 16일(현지시간) 열렸다.
미국 바이오협회(BIO)가 주관하는 이 행사는 전 세계 바이오·제약 업계 관계자가 모여 파트너십을 논의하는 자리로 올해 32회째를 맞았다. 이번 전시는 '세상은 고대하고 있다'(The World Can't Wait)를 주제로 개최됐다.
보스턴 컨벤션&엑시비션 센터에서 열린 올해 행사에는 19일까지 전 세계 업계 관계자 2만명 이상이 방문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국 기업 중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롯데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팜 등이 부스를 설치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전시장 초입에 167㎡ 규모 부스를 설치, 이곳에서 위탁개발생산(CDMO) 경쟁력과 신규 시설 및 서비스 등을 알린다.
셀트리온은 140㎡ 규모 부스를 갖추고 신약 파이프라인 강화를 위한 글로벌 기업과의 파트너십 확대를 추진한다. 올해는 처음으로 기업 발표 세션에 참가해 업계 관계자를 대상으로 의약품 연구개발부터 임상, 허가, 생산, 판매 등 전 과정을 소개한다.
롯데바이오로직스도 단독 전시 부스를 운영하며 시러큐스 바이오 캠퍼스와 송도 바이오 캠퍼스의 경쟁력을 보여준다. 특히 올해는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부사장)이 롯데바이오로직스 부스를 찾았다.
SK바이오팜은 올해 행사에서 처음으로 단독 부스를 열었다. SK바이오팜은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를 앞세워 글로벌 비즈니스를 확장한다.
이들 기업 외 한미약품, 유한양행, HLB, GC녹십자, 알테오젠, 에이비엘바이오, 코오롱생명과학, 차백신연구소 등도 올해 바이오 USA에 참여했다.
한편 중국 CDMO 기업 우시바이오로직스는 미국 생물 보안법 등으로 인해 작년에 이어 올해 바이오 USA에도 불참했다.
- '바이오 USA' 향하는 K제약바이오, 높아진 기술력 뽐낸다
-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성장에 첫 연간 흑자 달성…영업익 963억원
- [현장] 노연홍 제약바이오협회장 "글로벌 환경 급변...맞춤형 해외 공략 필요"
- K-신약 개발 전략 대전환…선택 아닌 필수된 ‘협업’
- SK바이오팜·피닉스랩, AI 기반 신약 개발 위해 업무협약 체결
- 셀트리온 "옴리클로 치료 종료 후 유효성·안전성 확인"
- 존림 삼성바이오 대표 "인적분할로 이해상충 문제 해결…제3캠퍼스 추진"
- 롯데바이오, 오티모와 항체 생산 수주 계약…글로벌 영향력 확대
- GC녹십자 "mRNA 백신, 연내 임상 1상 IND 제출 계획"
- [Bio & Now] 韓, '바이오USA 2025'서 글로벌 협력 강화 성과
- '창립 제99주년' 유한양행 "글로벌 50대 제약사로 발돋움"
- 차백신연구소, 만성 B형 간염 치료백신 임상 2b상 CSR 수령
- 에이비엘바이오·아이맵 "ABL111 병용요법 임상 1b상 데이터 발표"
- K의약품 인기 ‘고공행진’…작년 생산액 32조 돌파 ‘역대 최고’
- 알테오젠, ‘CMC 전문가’ 이영필 전 진코어 대표 CPO로 영입
- 에이비엘바이오 "ABL111 병용요법 DCR 100% 확인"
- 코오롱생명과학 충주공장, 충주시 ‘여성친화기업’ 인증 획득
- 코오롱생명과학, 골관절염 치료제 ‘TG-C‘ 캐나다 특허 등록
- 차백신연구소, 대표이사에 한성일 부사장 내정
- 차백신연구소·SML바이오팜, mRNA 기반 백신·치료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