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이 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 등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제공=연합]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이 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 등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제공=연합]

대통령실 주도로 설립되는 국가바이오위원회가 오는 12월 출범하게 되면서 바이오업계가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국가바이오위원회는 국가우주위원회, 국가인공지능(AI)위원회에 이어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는 세 번째 전략기술위원회로 바이오 분야 기초 연구부터 임상과 상용화에 이르는 가치 사슬 전반을 지원한다.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비서관은 전날 브리핑을 통해 “올해 4월 첨단 바이오이니셔티브를 발표하고 관련 거버넌스를 신속히 정비해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에 이르게 됐다”며 “바이오헬스 데이터와 AI 기술을 활용해 바이오, IT 융합 기술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가바이오위원회 부위원장에는 바이오 분야 석학인 이상엽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총장이 내정됐으며,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 단장, 고한승 삼성바이오에피스 사장, 김영태 서울대병원장 등 민간영역 바이오 분야 권위자 20여 명도 위원으로 참석할 예정이다.

특히 위원회가 제시한 전략을 바탕으로 실제 과학기술 정책을 심의·조정하고, 국가의 R&D(연구개발) 예산안을 짜게 된다. 이를 통해 R&D 예산을 적시에 필요한 만큼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바이오시밀러(생물의약품 복제약) 분야에서 미국식품의약국(FDA) 허가 기준으로 세계 2위(11개), 유럽의약품청(EMA) 허가 기준으로는 세계 1위(14개)를 기록하는 등 시장 경쟁력을 갖추면서 주요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실제 우리나라의 바이오시밀러 수출은 급성장하면서 2021년 9억8100만 달러에서 2022년 14억6800만 달러, 2023년 16억4200만 달러로 3년 연속 증가 추세다.

여기에 미국 정부가 특정 기업과의 거래·계약 등을 제한하는 ‘생물보안법(Biosecure Act)’을 추진하면서 국내 바이오 CDMO(위탁개발생산업체)에게는 더 많은 기회가 찾아올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이다. 규제 대상으로 꼽히는 우시바이오로직스와 우시앱텍 등 중국 기업의 빈자리를 국내 바이오업체들이 차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미국‧EU 등 주요국들이 ‘보건 안보’를 내세우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역시 바이오를 주요 산업으로 분류해, 경쟁력 확보 및 보호에 힘을 실어주는 모양새다.

그러나 현재 국내 바이오업계는 일부 대형사들을 제외하고는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오벤처의 든든한 지원 역할을 하던 벤처캐피털(VC)들이 지갑을 닫으면서 신약 R&D가 멈춰 섰고, 자금이 돌지 않으면서 임상을 포기하거나 사무실을 축소하는 등 긴축경영에 들어간 곳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이로 인해 기술력은 갖췄지만 자금 부족으로 유망 기업까지 고사 위기에 몰려있는 만큼 정부가 이번 바이오위원회를 통해 자금 지원에 나서게 되면 소규모 바이오 업체들이 재정적 지원을 통한 신약 개발을 지속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바이오 업계에서는 이 같은 정책이 중단기적으로 빠르게 이뤄져야 하고 지속성을 갖추고 꾸준히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금리 인하 등으로 투자심리가 소폭 회복되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는 바이오벤처들이 많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정부가 바이오산업을 육성한다고 한 것은 이미 오래전이지만, 실제 체감되고 있다는 느낌은 받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실제 바이오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선 패스트 트랙(심사 간소화) 등을 통해 고사 위기에 처한 기업에 신속한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이번에는 대통령이 위원장을 맡았다고 한 만큼 이전 정책들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길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