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험회사의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당기순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조5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비 13.2% 늘어난 수치다. 보험상품 판매와 자산운용수익이 동시에 성장한 결과다.
다만 금리 하락 및 제도개선에 따른 보험부채 할인율 하락 등으로 부채가 늘어나 자기자본은 감소했다.
금융감독원이 26일 공개한 '2024년 1~9월 보험사 경영실적(잠정)'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22개 생명보험사와 31개 손해보험사의 당기순이익은 13조3983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조5624억원(13.2%) 늘어났다.
생명보험사 순이익은 5조3076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5956억원(12.6%) 증가했다. 보험손익은 보장성보험 판매확대 등에 따라 나아져고, 투자손익은 이자와 배당수익 등 자산운용수익 증가 등으로 향상되었다.
손해보험사 순이익은 8조907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9668억원(13.6%) 증가했다. 장기보험 판매확대로 보험손익이 개선됐다. 또한 투자손익도 이자수익과 금융자산 평가이익 증가 등을 통해 늘어났다.
올해 3분기까지 수입보험료는 170조949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7조824억원(4.8%) 증가했다.
생보사 수입보험료는 80조8313억원으로 전년보다 4조3724억원(5.7%) 증가했다. 보장성(13.0%)·저축성보험(4.6%)의 수입보험료는 증가했으나 변액보험(-0.5%)·퇴직연금 등(-13.2%)의 수입보험료는 줄었다.
손보사 수입보험료도 89조2636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조4100억원(4.0%) 늘었다. 장기(5.2%)·일반(8.1%)·퇴직연금 등(2.2%)의 수입보험료는 증가했지만 자동차보험(-1.4%)의 수입보험료는 줄었다.
올해 9월까지 보험사 총자산이익률(ROA)은 1.44%로 전년동기 대비 0.07%포인트 상승했다. 자기자본이익률(ROE)도 11.35%로 2.08%포인트 상승했다.
총자산과 총부채는 각각 1257조원, 1110조3000억원으로 지난해 12월말 대비 각각 30조7000억원(2.5%), 52조2000억원(4.9%) 증가했다. 반면 자기자본은 146조7000억원으로 총자산보다 총부채가 더 크게 증가한 영향으로 지난해 12월말 대비 21조5000억원(-12.8%) 감소했다.
금감원은 "보험회사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보험상품 판매확대 및 자산운용수익 증가 등으로 보험·투자손익이 개선되면서 전년동기 대비 증가했지만 금리 하락 및 제도개선에 따른 보험부채 할인율 하락 등으로 부채가 증가하면서 자기자본은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국내 부동산 PF와 해외 상업용부동산 관련 리스크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향후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확대될 우려가 있으므로 보험회사는 재무건전성을 선제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보험회사의 당기손익, 재무건전성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잠재리스크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뜨거운 감자 ‘상법개정’…국내 증시 ‘득일까 독일까’
- [보험썰] "무책임한 회계법인, '낙관·비관적 보험해지율 가정' 모두 인정"
- ‘흔들리는 韓 증시’ 금융당국·전문가 머리 맞댔다…“밸류업 펀드·기관 역할 기대”
- 이복현 금감원장 “동아시아 3국 금융수장과 감독공조 협의”
- 당국 "대주주 면담" 경고에 보험사 예외모형→원칙모형 선택 '백기'
- [증권 & Now] 한국투자증권, 아시아 금융 중심지서 글로벌 투자 기회 모색 등
- 무·저해지 해지율 낙관한 롯데·DB·현대 '우려' vs 삼성·메리츠 보수적 설계 '든든'
- 이복현 금감원장, 28일 금융지주 이사회 의장 만난다
- 금감원장, 예산 부족 '사과'…야근초과수당 미지급ㆍ경영평가 하락 '책임 표명'
- 이복현, 베트남·홍콩·인니 방문…해외 IR·감독기구 수장 면담
- [e코멘터리] 윤석열의 사과, 이복현의 사과
- [보험썰] '낙관이냐, 보수냐'…금감원 해지율 개편에 손보사 '반대10' vs '찬성1'
- [보험썰] '역대급 제안' 메리츠화재의 MG손보 인수 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