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연합]
[제공=연합]

해외투자은행들이 내년 한국 실질 성장률을 1% 중반대까지 낮추고 있다. 기존 2%대는 사라진 상황이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씨티는 최근 보고서에서 내년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6%로 제시했다. 지난 10월 말 1.8%에서 0.2%포인트(p) 하향 조정한 수치다.

씨티는 내년 전망치를 지난 3월 말 1.6%에서 4월 말 1.8%로 한 차례 높였다가 7개월여 만에 다시 1.6%로 돌아섰다. 내후년 전망치도 이번에 기존 1.7%에서 1.6%로 하향했다. 

씨티는 보고서에서 "올해 4분기의 성장률 둔화와 함께 내년 트럼프 2기 하의 미국 관세 리스크를 고려해 내년과 후년 전망치를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씨티은행 보고서
씨티은행 보고서

이어 "미국이 관세를 인상할 경우 한국의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비상계엄 사태 여파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정책 대응 덕분에 영향은 단기에 그칠 것"이라고 진단했다. 

다른 곳도 우리 경제 전망에 대해 기대를 낮추고 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씨티를 포함한 글로벌 IB 8곳이 제시한 내년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지난달 말 기준 1.8%로, 한 달 전보다 0.2%p 떨어졌다. 

골드만삭스와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는 2.2%에서 1.8%로, UBS는 2.1%에서 1.9%로, 노무라는 1.9%에서 1.7%로, JP모건은 1.8%에서 1.7%로 각각 전망치를 내렸다. 

바클리는 1.8%, HSBC는 1.9%를 머물렀다. 

한 달 전만 해도 골드만삭스,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 UBS 등이 2%대 전망치를 내놓은 바 있다. 

지금은 다수가 1% 중후반대를 고려하고 이다.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달 28일 "미국 신정부의 경제정책 향방에 따른 경기와 인플레이션의 불확실성이 증대됐다"며 내년과 내후년 성장률 전망치를 1.9%와 1.8%로 판단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