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412/1645086_656786_959.jpg)
해외투자은행들이 내년 한국 실질 성장률을 1% 중반대까지 낮추고 있다. 기존 2%대는 사라진 상황이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씨티는 최근 보고서에서 내년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6%로 제시했다. 지난 10월 말 1.8%에서 0.2%포인트(p) 하향 조정한 수치다.
씨티는 내년 전망치를 지난 3월 말 1.6%에서 4월 말 1.8%로 한 차례 높였다가 7개월여 만에 다시 1.6%로 돌아섰다. 내후년 전망치도 이번에 기존 1.7%에서 1.6%로 하향했다.
씨티는 보고서에서 "올해 4분기의 성장률 둔화와 함께 내년 트럼프 2기 하의 미국 관세 리스크를 고려해 내년과 후년 전망치를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이 관세를 인상할 경우 한국의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비상계엄 사태 여파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정책 대응 덕분에 영향은 단기에 그칠 것"이라고 진단했다.
다른 곳도 우리 경제 전망에 대해 기대를 낮추고 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씨티를 포함한 글로벌 IB 8곳이 제시한 내년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지난달 말 기준 1.8%로, 한 달 전보다 0.2%p 떨어졌다.
골드만삭스와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는 2.2%에서 1.8%로, UBS는 2.1%에서 1.9%로, 노무라는 1.9%에서 1.7%로, JP모건은 1.8%에서 1.7%로 각각 전망치를 내렸다.
바클리는 1.8%, HSBC는 1.9%를 머물렀다.
한 달 전만 해도 골드만삭스,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 UBS 등이 2%대 전망치를 내놓은 바 있다.
지금은 다수가 1% 중후반대를 고려하고 이다.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달 28일 "미국 신정부의 경제정책 향방에 따른 경기와 인플레이션의 불확실성이 증대됐다"며 내년과 내후년 성장률 전망치를 1.9%와 1.8%로 판단했다.
- 尹, 한총리·한동훈·추경호와 1시간여 계엄 후폭풍 대책논의
- 계엄사태에 노동계 강력 비판…파업·대화거부 등 투쟁 의지
- 기재차관, 주요국 재경관에 "주재국 투자자와 긴밀 소통" 당부
- 금감원 "증시 불안심리·정치 테마주 관련 허위·풍문 유포 엄정대응"
- [EBN 오늘(4일) 이슈 종합] 충격에 빠진 완성차 업계, 환율 2년여 만에 최고, 계엄령 후폭풍 코스피·코스닥 1%대 하락
- 김용현 "계엄 관련 국민께 송구…대통령께 사의 표명"
- 환율 2년여 만에 최고점…비상계엄 후폭풍에 1410.1원 마감
- ‘비상계엄 사태 후폭풍’ 코스피·코스닥 1%대 하락…환율 1410.1원
- [포토] 계엄령 후폭풍…금융당국, 금융상황 점검회의 개최
- [포토] 광주·전남 지방의회 "윤 대통령 하야해야"
- CJ대한통운, ‘주7일 배송’ 한달 앞두고 노조와 교섭 차질
- 충격에 빠진 완성차 업계, 이미지 타격 '불가피' 해법은
- [보험썰] 이복현 원장, 이젠 보험사 대주주를 만나야 한다
- [보험썰] GA, 보험사에 선전포고…"종속되지 않는다, 주인 vs 주인으로 만나자"
- [보험썰] "무책임한 회계법인, '낙관·비관적 보험해지율 가정' 모두 인정"
- [보험썰] '낙관이냐, 보수냐'…금감원 해지율 개편에 손보사 '반대10' vs '찬성1'
- [보험썰] '역대급 제안' 메리츠화재의 MG손보 인수 셈법
- 尹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본회의 보고…이르면 내일 표결
- 尹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보고…6일 새벽부터 표결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