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긴급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긴급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올해 안에 내년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경제가 중요한 기로에 서 있는 만큼, 국회와 긴밀히 소통하며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15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긴급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향후 경제정책 추진방향과 각 부처의 대응계획에 대해 논의했다. 그는 "민·관의 모든 역량을 결집해 경제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회의를 시작하며 최 부총리는 "현재 경제 상황에 대해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면서 "국민께 송구하며, 각오를 다져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12·3 내란 사태와 그로 인한 탄핵 정국, 그리고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등으로 경제를 둘러싼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특히 최 부총리는 "금융·외환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은 일단 진정됐지만, 여전히 안심할 수 없다"며 "국민과 기업, 외국인 투자자의 경제심리가 위축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정부는 △대외신인도 유지 △통상환경 불확실성 대응 △산업체질 강화 △민생 안정 정책 강화 등을 주요 정책방향으로 삼아, 올해 안에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최 부총리는 "대외신인도 강화를 위해 우리 경제의 견고한 펀더멘털과 대외 건전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이해를 높이고, 외국인 투자 인센티브를 획기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12·3 내란 사태 이후 지속해온 금융·외환시장 실시간 모니터링을 계속 이어가며 시장안정을 위한 대응을 강화하겠다고 재확인했다.

또한 외교부와 협력하여 '대외관계장관 간담회'를 정례화하고, 경제·통상·외교 전반의 현안을 점검하고 대응할 계획을 밝혔다. 그는 "국익을 최우선으로 하여 대외경제 전반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대응전략을 수립하고, 민간의 대외협력 역량도 최대한 활용하겠다"고 강조했다.

산업체질 강화를 위해 기존의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민·관 합동회의로 확대 개편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반도체, 항공·해운물류뿐만 아니라 석유화학, 건설 분야에 대한 경쟁력 강화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민생 안정과 관련하여 "국회를 통과한 내년도 예산이 새해 첫날부터 즉시 집행될 수 있도록 예산 배정을 신속히 마무리하겠다"며 "취약계층을 위한 추가 지원방안도 과감하게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상반기 신속 집행 계획도 곧 발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 부총리는 "우리 경제가 다시 한번 시험대 위에 서 있지만, 과거 어려운 상황을 극복한 저력이 있다"며 "국민과 기업이 경제활동을 계속 이어간다면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나타냈다.

이어 "정부도 총력을 다해 뒷받침하고, 민생과 현장 속에서 국민과 기업인 여러분과 함께하겠다"고 다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