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들이 일찌감치 내년 설 선물세트 예약판매에 돌입한 가운데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설 선물세트가 진열되어 있다. 연합뉴스
대형마트들이 일찌감치 내년 설 선물세트 예약판매에 돌입한 가운데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설 선물세트가 진열되어 있다. 연합뉴스

고물가로 인해 백화점과 대형마트의 설 선물 판매 전략이 양극화되고 있다. 

백화점은 20만~30만 원대 상품을 중심으로, 대형마트는 5만 원 미만의 가성비 상품을 주력으로 내세우고 있다.

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신세계백화점과 현대백화점의 10만 원 미만 선물 물량은 작년 설 대비 5% 감소했으며, 100만 원 이상 고가 선물은 5% 증가했다. 

10만 원대와 20만 원대 선물의 물량도 각각 15%, 20% 늘어났다. 갤러리아백화점 역시 100만 원 이상의 고가 선물을 확대하고 10만 원 미만 상품은 축소했다.

백화점 관계자는 "물가 상승으로 전반적인 선물 시세가 올랐다"며 "정육과 수산 세트는 보합세를 보였으나, 과일 세트는 출하량 감소로 인해 소비자 가격이 10% 이상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사과 소매가는 10% 하락했지만 배는 25% 상승하면서, 한라봉, 샤인 머스캣, 애플망고 등을 포함한 혼합세트가 늘어났다. 또한, 한우 선물 세트는 포장 중량을 줄여 가격을 낮추는 전략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롯데백화점은 인기 한우 상품의 중량을 2kg에서 1.6kg으로 줄여 중간 가격대 선물을 강화했다. 현대백화점도 한우 기본 포장 단위를 450g에서 200g으로 줄이고 진공 포장을 적용했다.

대형마트는 저가 상품에 집중하고 있다. 이마트의 5만 원 미만 상품 비중은 작년 대비 4.7%포인트 증가한 38.9%를 기록했다. 반면, 5만~10만 원대와 그 이상의 가격대 비중은 감소했다. 롯데마트도 10만 원 미만 상품 비중을 70%로 구성하며 작년보다 5%포인트 확대했다.

가성비 상품의 인기도 높아졌다. 홈플러스에서는 동서 맥심 커피세트(3만 4천 원), 정관장 홍삼원(2만5000원), 사조 안심 특선(1만7000원)이 매출 상위권에 올랐다.

롯데마트는 '비비고 토종김 5호'와 '네파 스포츠 양말 선물 세트(3족)'를 각각 9900원에 판매하며 초가성비 선물을 강조했다. 이마트는 사과 선물 세트 가격을 전년보다 10% 낮춰 매출이 105% 증가했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모두 법인 고객을 중심으로 대량 구매 수요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백화점은 오는 6일 또는 10일부터, 대형마트는 16일부터 본격적인 설 선물 세트 판매를 시작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