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 의류 시장에서 가품 및 저품 논란이 확산되면서 업계 전반이 신뢰 회복을 위한 관리 강화에 나섰다. [제공=픽사베이]
최근 국내 의류 시장에서 가품 및 저품 논란이 확산되면서 업계 전반이 신뢰 회복을 위한 관리 강화에 나섰다. [제공=픽사베이]

최근 국내 의류 시장에서 가품 및 저품 논란이 확산되면서 업계 전반이 신뢰 회복을 위한 관리 강화에 나섰다.

주요 백화점과 대형마트는 계약 조건을 강화하고 현장 점검을 실시하는 한편, 패션업계는 유통 과정을 엄격히 감독하고 있다. 또한, 오픈마켓 등 e커머스 플랫폼은 판매자 모니터링과 품질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9일 뉴스1과 유통업계에 따르면 패션 및 의류 업체들은 충전재 혼용률의 오류 문제와 가품 논란 재발 방지를 위해 다양한 조치를 시행 중이다. 특히 병행수입 증가로 인해 공급 과정에서 가품 유입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계약서 강화와 인보이스 제출 의무화를 통해 공급망 투명성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대형마트는 최근 발생한 '스투시 가품 논란' 이후 신뢰 하락 우려 속에서 대응책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형마트 관계자는 "협력사를 통해 상품의 진위를 확인하며 관세청 수입 신고 필증과 인보이스 등을 철저히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일부 문제가 있는 제품에 대해서는 재고 소진 후 추가 판매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패션업계 역시 품질 관리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모든 제품에 대해 시험검사 기관(FITI, KATRI, KOTITI)을 통한 품질검사를 진행하며 인증 기준을 상향한다고 밝혔다. SSF샵 입점 심사에서도 다운패딩 관련 시험성적서 제출을 의무화해 입점 요건을 더욱 엄격히 하고 있다.

신세계인터내셔날과 LF도 원부자재부터 완제품까지 모든 단계에서 철저한 품질 검사를 시행 중이다. 신세계인터내셔날 관계자는 "원부자재 수급 시 외부 공식 시험기관의 조성혼합률 검사 등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LF는 자체적으로 수시 테스트를 통해 제품 안전성을 확인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오픈마켓 구조로 운영되는 쿠팡, 11번가, G마켓 등 e커머스 플랫폼들은 모든 상품에 대한 강제적인 품질 검사가 어렵다는 한계를 인정하면서도 모니터링 시스템과 판매 제한 등의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쿠팡은 증빙 서류 제출 기준 강화를 추진 중이며, 11번가는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FDS)을 활용해 가품 사전 감시와 판매자 퇴출 조치를 단행할 계획이다.

유통업계 전문가들은 "직매입보다 도매 방식으로 운영되는 시장 구조상 협력사 및 브랜드의 책임이 강조된다"며 "정확한 인증 절차와 상표권자의 판정 권한 활용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