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2/1651233_663734_5814.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했던 철강·알루미늄 수입 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공식화했다.
1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집무실에서 해당 내용을 담은 포고문에 서명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관세 조치에 대해 "예외나 면제가 없다"고 못 박았다.
■ 2018년, 4주 협상 끝에 관세 면제 받아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18년 행정부 1기 때도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철강에 25% 관세, 알루미늄에 10% 관세 부과를 추진한 바 있다.
당시 최초 행정 서명에는 우리나라 철강 제품도 25%의 관세를 부과받을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김현종 전(前)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을 필두로 한 30여 명의 협상단이 4주간 워싱턴에 머무르며 협상을 진행했다. 그 결과 철강 관세를 면제받는 대신 수출 물량을 제한하는 쿼터제를 수용해 관세 부담을 완화한 전례가 있다.
당시 윤영찬 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기자들에게 "지독하게 협상했다"는 후문을 전하기도 했다.
■ 산업부, 대응책 마련 분주
최근 한국 철강업계는 이미 달러 강세, 값싼 중국산 철강재의 범람, 세계적인 수요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미국의 관세 부과까지 더해지면서 불확실성이 더욱 커졌다. 이에 따라 정부도 대응책 마련을 위해 긴급히 움직이고 있다.
지난 10일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서울 철강협회에서 박종원 통상차관보 주재로 철강협회 및 주요 수출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점검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는 포스코홀딩스, 현대제철, 노벨리스 코리아, 강관업계, 철강협회 관계자들이 참석해 대응책을 논의했다.
산업부는 미국의 구체적인 조치를 확인하고, 업계와 소통하며 대응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산업계도 개별 수출기업 차원에서 현재까지 파악된 정보를 공유하고, ‘원팀’이 되어 긴밀히 대응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박종원 차관보는 "주미 공관을 비롯해 동원 가능한 모든 네트워크를 가동해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 중"이라며 "우리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업계와 긴밀히 공조하며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 트럼프 관세 폭탄발언 나오자 금값 또 사상 최고치
-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25% 추가 관세"…韓 철강사 비상
-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 행정명령에 서명…"車·반도체·의약품도 검토"
- [속보] 트럼프 25% 철강·알루미늄 관세…"예외나 면제 없다"
- 트럼프 철강 관세 엄포…EU "대응할 것"
- '재무통' 서강현, 현대제철 美 제철소 ‘10兆’ 조달에 쏠린 눈
- 동원그룹 "내실경영 통했다" 지난해 영업이익 8.4% 증가
- 對美 수출 철강 내달 12일부터 25% 관세 적용
- "트럼프 관세, 위기 아닌 기회"…한세실업, 중남미 생산기지 투자 속도
- [종합] 美 철강 25% 관세 '포고문' 살펴보니…협상 가능성 열어놔
- [전문] 美 백악관이 공개한 '철강 관세' 포고문
- 현대제철, '소통·역사·혁신·미래' 담은 홈페이지 개편 눈길
- 포스코홀딩스, 사내이사후보 이주태·천성래 추천
- 현대제철, 성과급 협상 '적자' 우려 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