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건설이 재무건전성 강화를 위해 본사 사옥 부지 매각을 위한 컨설팅에 들어간 것을 두고 업계 시각은 크게 두 갈래로 나뉜다. '사면초가(유동성 위기 시점)'와 '임기응변(위기 대처 가능한 높은 능력 시점)'이다. 롯데건설 측은 "이번 컨설팅을 통해 최적의 자산 효율화 방안을 도출하겠다"고 했다.
◆ 롯데건설, 본사 매각 포함 1조 규모 유동성 확보 추진
28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건설은 전날 "재무건전성 강화를 위해 본사 사옥 부지에 대한 컨설팅 추진과 창고부지·사업토지 등에 대한 자산 활용방안 모색에 나섰다"며 "외부 전문 컨설팅을 통한 개발·매각, 매각 후 임대(세일&리스백) 등 자산 효율화 절차가 내부적으로 시작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지난 2022년 이후 당사는 재무 안정성 강화와 현금흐름 중심 경영을 펼쳐 재무구조를 개선해왔다"며 "이번 컨설팅을 통해 자산효율화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고 전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이를 '롯데건설의 위기'라고 해석한다. 2022년 터진 강원 레고랜드발 자금 경색 사태가 롯데건설 '유동성 위기'의 출발점이 됐다.
물론 롯데건설의 5000억원 조기 상환이 당시 업계 내 떠돌던 위기설(說)을 일단락 시키기도 했지만, 2024년 11월 '롯데그룹 롯데월드타워 담보 제공' 소식이 전해지며 롯데건설의 유동성 위기설은 재점화됐다.
앞서 2022년 11월 롯데건설은 최대주주 롯데케미칼로부터 석달간 5000억원을 빌린바 있다. 기준금리가 급격하게 오른 상황에서 지방자치단체(강원도)가 보증했던 레고랜드 테마파크 대출 자산유동화기업어읍(ABCP)이 부도처리된 영향이 가장 컸다. 롯데건설은 이 사태로 단기적인 재무 부담과 신용도 하락 등의 부정적 영향을 경험하게 됐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건설사 줄도산 위기설'도 롯데건설을 압박했다. 특히 올해는 중견기업 신동아건설·삼부토건·안강건설·대우조선해양건설 등의 잇따른 법정관리 신청이 그 압박의 수위를 더 높였다.
건설업 종사자 A씨는 "회사가 소유하던 것을 매각한다는 것은 그 기업에 돈이 없다는 것 아니겠냐"며 "최근 건설기업 줄도산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데, 모두가 보유한 현금이 없어서 법정관리 신청에 들어가는 것. 이 부분을 고려하면 롯데건설의 위기설을 무시할 수만은 없다"고 말했다.
![롯데건설 CI.[출처=롯데건설]](https://cdn.ebn.co.kr/news/photo/202502/1653572_666361_4335.jpg)
◆ 유동자산 5.7조
"유동자산은 5조7000억원, 유동부채는 5조1600억원인데, 위기라고 볼 수 있을까요?"
또 다른 건설업 종사자 B씨는 이번 사태를 정반대의 시선으로 바라봤다. 롯데건설이 보유한 유동자산이 유동부채보다 많은 데다, 알짜 사업지가 많아 현금 확보는 어렵지 않을 것이라 진단해서다.
B씨는 "작년 3분기 기준 롯데건설이 확보한 현금은 8000억원 대, 이번 사옥 매각 등 기업이 소유한 사업지를 시장에 내 놓는다면 최소 1조원 이상의 현금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무엇보다 롯데그룹이 버팀목이 되어주고 있어, 롯데건설의 위기설은 딱히 공감할 수 없는 부분"이라고 평가했다.
유동자산이란 기업이 1년 이내에 현금으로 전환되거나 소비될 수 있는 자산을, 유동부채란 기업이 1년 이내에 상환해야하는 금액을 뜻한다.
작년 3분기 롯데건설의 유동비율은 110.93%(유동자산·5조7337억원, 유동부채·5조1683억원)다. 이에 따라 1년 이내에 갚아야하는 유동부채는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업계에선 150%~200%를 이상적 유동비율로 정의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해보인다.
B씨는 이어 "특히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롯데건설의 부채비율이 감소세를 나타내기 시작했다"며 롯데건설의 실적 개선에 무게를 뒀다.
실제 롯데건설의 부채비율은 2022년 말 264%까지 치솟은 후 2024년 3분기 217.1%까지 낮아졌다. 1년 9개월 만에 약 46.9%p가 줄어든 셈이다. 2022년 롯데건설의 발목을 잡고 있던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부채 의존도 해소가 주요했다.
B씨는 "일차원적으로는 유동성 위기로 해석될 수 있지만, 모든 상황을 고려할 때 '위기를 해소하는 시기'가 명확하지 않을까 싶다"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B씨는 "향후 롯데건설은 차환을 통해 기존 부채를 해소하려 할 것. 차환은 기업의 신용등급을 우선적으로 보는데, 롯데건설의 신용등급은 A+로 매우 높다. 금융계에서 차환을 불허할 이유는 없어보인다"고 설명했다.
- 또 고개 숙인 주우정 현엔 대표 “사고 수습·피해 회복에 최선”
- [포토] 주우정 현대엔지니어링 대표 "사고 수습·피해 회복 위해 최선"
- [포토] 주우정 현대엔지니어링 대표, 붕괴사고 기자회견
- “하자 보수 어쩌나”…삼부토건 법정관리行에 입주자 우려 증폭
- 롯데건설 건전성 제고 총력전…강남 사옥 매각까지 검토
- 현대건설, 한미 에너지 협력 모델 ‘SMR-300’ 1호기 짓는다
- 서울시, '신통기획' 후보지 9곳 추가 선정…총 97곳으로 확대
- [단독] 방화6구역, 삼성물산 건설부문 품에 안겼다
- 삼성물산 건설부문, 제2마곡 '방화6구역' 품었다
- [Weekly 건설·부동산] 부산시, 1월 악성 미분양 전월 比 20.3% '쑥↑' 등
- [인터배터리] 롯데 화학군 3사 공동 참가..."배터리 소재 전문기업 도약"
- [인터배터리] 롯데화학군 공동 참가…배터리 밸류체인·핵심 기술 선봬
- ‘건설면허 1호’ 삼부토건 일단 살린다…法, 회생절차 개시 결정
-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 자회사 지분으로 6500억원 자금 추가 조달
- 부채비율 400% 넘는 건설사 수두룩…‘4월 위기설’ 고조
- 200억 투자한 '스핀짓주 마스터' 한국서 최초 공개
- [현장] "놀이가 직업역량 키운다"…레고랜드 '행복한 아이들' 플랫폼 선언
- '도시정비 신흥강자' 롯데건설 박현철號…年수주목표 조기 달성 '초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