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는 1월 9일 롯데월드타워에서 '2025 상반기 VCM'을 개최했다. 본 회의에 앞서 계열사의 AI 우수 혁신사례를 소개하는 'AI 과제 쇼케이스'를 진행했다. 신동빈 롯데 회장(왼쪽)이 롯데케미칼의 'AI 기반 컬러 예측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출처=롯데]](https://cdn.ebn.co.kr/news/photo/202503/1655637_668730_544.jpg)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올해도 유통가 연봉 1위에 올랐다.
19일 기업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신 회장은 지난해 롯데지주에서 급여 38억원과 상여 21억7000만원 등 59억7200만 원을 받았다. 계열사별 보수 수령액은 롯데케미칼 38억원, 롯데쇼핑 19억6400만원, 롯데웰푸드 26억500만원, 롯데칠성음료에서 34억9300만원 등이다.
신 회장이 5개사에서 받은 보수는 178억3400만원으로 전년 대비 0.67% 늘었다. 사업보고서를 공시하지 않은 비상장사인 호텔롯데와 롯데물산에서 급여까지 포함하면 신 회장의 작년 보수는 200억원을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은 지난해 이마트에서 급여 19억8200만원과 상여급 16억2700만원 등 총 36억900만원을 받았다. 이는 전년 대비 2.4% 줄어든 수치다. 지난해 이마트가 흑자전환에 성공한 가운데 정 회장이 솔선수범하는 자세로 상여와 성과급을 줄였다고 신세계그룹은 설명했다.
정 회장의 모친 이명희 신세계그룹 총괄 회장과 부친 정재은 신세계그룹 명예회장은 지난해 이마트에서 17억6700만원씩을 수령했다. 이는 전년 대비 42.3% 줄어든 금액이다. 이 총괄회장 부부는 전년 대비 급여는 적게 받고 성과급은 받지 않았다. 이 총괄회장과 정 명예회장은 신세계에선 각각 12억6400만원을 받았다.
이 총괄회장 부부가 지난해 이마트·신세계에서 받은 전체 보수는 전년보다 37.5% 줄었다. 정유경 신세계 회장이 지난해 수령한 보수는 35억9600만원으로 전년보다 2.4% 줄었다.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은 지난해 현대백화점에서 50억4400만원을 받았다. 정 회장은 지난해 급여 37억200만원, 상여 13억4100만원을 수령했다. 이는 전년 대비 6.4% 늘어난 수치다.
정 회장의 동생인 정교선 부회장은 현대백화점에서 전년보다 2.1% 늘어난 17억6700만원을 받았다. 정 부회장은 현대홈쇼핑에서도 대표이사 보수 20억4300만원을 수령했다.
- 신동빈 회장, 롯데웰푸드서 작년 연봉 26억원 수령…전년比 6.6%↑
- 막오른 유통가 주총 시즌…화두는 ‘신사업·사명변경’
- 롯데칠성, 과거 ‘JV 설립 추진’ 이력 주목
- 대기업 올해 주총 키워드 '주주환원 확대·이사진 개편'
- 롯데케미칼, 25일 주총서 경쟁 화학사 출신 사외이사 선임 예정
- 소진공·롯데웰푸드 '맞손'…백년소상공인 제품 브랜드화 나선다
- 롯데월드타워, 22일 밤 60분간 불 끈다
- 롯데케미칼, ‘2025 iF 디자인 어워드’ 본상 수상
- 롯데쇼핑에 힘 싣는 신동빈…5년만에 '등기이사' 복귀
- ‘오너 경영’ 강화한 롯데쇼핑, 실적 개선 고삐 죈다
- [주총] 이영준 롯데케미칼 대표 "공급과잉 화학사업 구조조정, 고부가 중심 재편"
- 이사회 재정비 나선 유통가…‘官출신 사외이사’ 줄줄이 영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