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EBN AI 그래픽 ]](https://cdn.ebn.co.kr/news/photo/202503/1655750_668858_450.jpg)
지난 4일 기업회생절차를 개시한 홈플러스가 상황이 나쁠 경우 이번달 17일부터 현금 부족 사태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하고 법원행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오늘(20일) 연합뉴스가 입수한 홈플러스의 회생절차 개시명령 신청서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지난 4일 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하면서 "신용등급 하락에 따른 단기자금 조달 실패로 현금 부족이 3월 17일 184억 원 발생한 뒤 계속 악화해 5월 말일 7395억원에 이를 것"이라고 추정했다.
홈플러스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이런 내용의 시나리오를 적시하면서 "어떻게든 돈을 융통해보겠지만 5월이 되면 부도가 날 것"이라고 진단했다.
지난달 28일 신용등급이 A3에서 A3-로 강등되자 매입·영업대금 유동화와 기업어음을 만기일에 차환할 수 없어 가용 현금 잔액이 급감할 것으로 봤다.
그러면서 "2월 28일 기준 매입·영업대금 유동화 부채(4618억 원)와 단기 기업어음(1880억 원) 합계는 6498억 원인데 3월부터는 이전처럼 자금을 계속 조달할 수 없어 단기 자금운용에 차질이 발생해 연쇄적으로 지급정지가 유발되면 일반적 지급불능에 빠질 염려가 있다"고 회생신청 사유를 적었다.
홈플러스는 "운전자금 운영 목적으로 평균 5천억∼6천억 원 규모의 기업·전자단기사채, 기업구매전용카드를 활용했는데 시장의 수요가 충분해 문제가 없었다"며 "그러나 신용등급 하향으로 단기채무를 차환할 유동성 확보가 막혀 지급불능이 현실화하기 전에 선제적으로 회생 신청을 제출한다"고 강조했다.
홈플러스는 "성공적인 회생을 위해서는 고정비와 금융비용 부담을 집중적으로 완화하도록 회생계획안이 작성돼야 한다"며 "영업활동으로 현금흐름을 지속 창출하고 있지만 임대료에 따른 리스부채, 금융부채 등 상환에 따른 현금 유출을 반영한 마이너스 재무 현금흐름을 감당하기에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홈플러스는 회계연도(3월~이듬히 2월) 기준으로 2022년과 2023년에 각각 2,602억 원, 1,994억 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회생신청서에 올해 1월 31일 기준 직전 12개월 실적으로 매출은 7461억 원, 영업손실은 2349억 원이라고 했다. 금융비용은 2022년 3933억원, 2023년 4573억원, 지난해 5493억원 등으로 증가했습니다.
홈플러스 총부채는 1월 말 기준 8조5000여억 원이다. 리스부채가 2조4000여억 원, 유동성리스부채 1조88억 원, 상환전환우선주 1조1000여억 원, 장기차입금 1조6000여억 원, 매입채무 5505억 원, 단기차입금 3819억 원 등입니다.
홈플러스는 신청서에서 "회생 개시 후 상거래채권액은 100% 변제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금융채권자들에게도 약간의 이자율 조정과 변제조건의 변경을 통해 대부분 변제하는 것을 목표로 회생 계획을 세울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과거 매각후 재임대(SLB)한 점포 중 영업이익을 무의미하게 할 정도로 차임(임차료)이 과다한 곳에 대해서는 임대인들과 차임 재조정을 시도하고 채무회생법상 계약 해지권을 활용해 회생채권자 일반의 이익 증진을 위해 필요한 잉여 현금흐름을 창출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수합병(M&A)에 대해서는 당장 쉽지 않다고 했다. 홈플러스는 "개인 사주가 존재하지 않기에 상황에 따라서 M&A 하는 것도 충분히 합리성이 있겠지만 이것도 많은 상거래채권자에 대한 채무가 정리돼 채권구조가 단순화되고 영업 지속으로 소비자 신뢰가 유지돼 계속기업으로서 존립할 것이란 합리적 전망이 확립된 이후에 추구하는 것이 현실적일 것"이라고 전했다.
이밖에 홈플러스는 "부채 상환을 위해 홈플러스 익스프레스(슈퍼마켓) 사업 부문도 매각을 추진했었다"며 "회생신청 후 이를 속행할지는 채권자들 의견 들어 결정하고자 한다"고 언급했다.
- 홈플러스, 회생신청서에 ‘현금 부족’ 언급…총부채 8.5조
- 서울우유, 홈플러스 납품 중단 결정…“협의 계속할 것”
- 홈플러스 "납품합의 마무리수순…상거래채 순차변제"
- 자금조달 직후 기업회생 신청한 홈플…MBK, 금감원 검사 받는다
- [EBN 오늘(19일) 이슈 종합] 강남·용산 전역 ‘토허제’ 재지정, 김광일 MBK "부도 뒤 회생 늦다", ‘밸류업 약발’ 집어삼킨 공매도
- 기업회생 논란 속 ‘홈플런’ 막바지…홈플러스 챙긴 현금 규모 주목
- 홈플 단기채권 발행·유통 책임공방…'회생신청 결단' 타이밍이 관건
- 김광일 MBK 부회장 "부도 뒤 회생은 늦다고 판단…선제적 법정관리 결정"
- [EBN 오늘(18일) 이슈 종합] '골든타임' 놓친 KDDX 사업, 최대 2년 표류···방사청 비판 '쇄도' 등
- 김병주 MBK 회장 국회 불출석…“오만방자, 고발·청문회라도”
- ‘홈플 사태’ MBK의 궁색한 변명…“어쩔 수 없었다”
- [전문] 연방준비제도이사회, FOMC 성명 발표
- 홈플러스 "매입채무유동화 상거래채권으로 취급 결정"
- 대금·급여 정상지급에도…‘홈플 구조조정’ 불안 여전
- 몸값 떨어진 홈플러스에…‘먹을 거 없나’ C커머스 다시 ‘기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