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면담장에서 모습을 드러낸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사진 왼쪽)과 김동선 한화갤러리아·호텔앤드리조트 미래비전총괄 부사장. [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61400_675535_3632.jpg)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가 한국을 극비 방문해 주요 그룹 총수들과 릴레이 면담을 가졌다.
이번 재계와 트럼프 주니어 간 만남은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와의 직접적인 소통 채널을 구축하려는 재계 요청에 따라 성사된 것이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초청으로 이뤄졌으며, 트럼프 주니어는 1박 2일 동안 조용히 재계 주요 인사들을 만났다.
30일 재계에 따르면 트럼프 주니어와 재계 총수간 면담은 신세계그룹 소유의 서울 역삼동 조선팰리스 강남에서 이뤄졌다. 면담은 1대1 차담 형식으로 개인당 30분~1시간가량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가장 눈에 띄는 장면은 한화그룹 3세 경영을 이끄는 형제들이 한자리에 모였다는 점이다. 김동관 한화 부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 등 '한화 3형제'가 모두 참석했다. 이들은 미국 내 비중이 큰 방위산업과 에너지, 반도체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을 집중 타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 의장도 트럼프 주니어와 만남을 가졌다. 논의 주제는 인공지능(AI), 글로벌 IT 전략 협력, 미국 테크 기업과의 공동 사업 기회 등으로 알려졌다.
이재현 CJ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 부사장도 면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롯데는 최근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따른 설비 투자 및 고객사 대응 전략이 시급한 상황으로, 신 부사장이 트럼프 주니어와 이에 대해 심도 깊은 대화를 나눈 것으로 전해진다.
금융권에선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이 오전 10시경 트럼프 주니어를 만나 한국 금융산업 전반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는 후문이다.
다만 정의선 현대차 회장, 신동빈 롯데 회장, 장인화 포스코 회장 등은 해외 출장 일정으로 참석하지 못했다. 정기선 HD현대 회장은 국내 일정을 이유로 빠졌다. 트럼프 주니어의 이번 방문은 비공식적인 성격이 강해 정치권 및 관료들과의 만남은 애초에 계획되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백악관의 사전 조율을 고려한 조치라는 분석이다.
트럼프 주니어는 전날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FBO)를 통해 입국한 직후 정용진 회장의 자택으로 이동해 만찬을 가졌고, 이후 주요 그룹 총수들과의 회동 일정을 소화했다. 이날 밤늦게 다시 김포 FBO를 통해 출국할 예정이다.
- CJ제일제당 "6조원 규모 그린바이오 사업 안 팔고 키운다"
- 트럼프 주니어, 숙소로 정용진의 ‘조선팰리스’ 선택…럭셔리호텔 위상 ‘UP’
- CJ 이재현·롯데 신유열, ‘막후 실세’ 트럼프 주니어와 비공개 회동
- 이해진 네이버 의장, 트럼프 장남과 만나…"AI·글로벌 진출 논의"
- 한화 김동관·동원·동선 3형제, 조선팰리스 강남 호텔에 등장한 까닭
- 트럼프 주니어, 정용진 초청으로 방한…이재용·김동관 등 재계 총수들과 면담
- 58만km 달린 아이오닉 5, 남양연구소로 갔더니
- 현대차·티니핑 협업 '유스 어드벤처' 전시 진행
- 제주항공, '인천-日 하코다테' 노선 신규 취항
- 선박 엔진도 'HD현대 vs 한화' 고성장 투톱
- KB금융공익재단, 아주대와 함께 대학생 금융 역량 강화
- KB금융, '아이 키우기 좋은 일터' 조성으로 일·가정 양립 문화 만들기 앞장
- 셀트리온, 美 소화기학회서 짐펜트라 3상 사후분석 결과 공개
- 한화家 3남 김동선 부사장, 개인 SNS 돌연 폐쇄…"본업 집중"
- 정용진 신세계 회장, 이번엔 중동서 ‘가교 역할’…트럼프 순방 합류
- 한화갤러리아, 1Q 영업익 18억 전년比 76%↓…"점포 리뉴얼 영향"
- '정몽구→정의선'…현대차 印법인, 판매 '1200만대' 금자탑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