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최근 가격이 오르고 있는 달걀이 진열돼 있다. [출처=연합뉴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06/1666623_681578_223.jpg)
달걀 한 판 가격이 4년만에 7000원을 넘어선 가운데, 공정거래위원회가 산란계협회의 가격 담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현장조사에 착수했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이날 충북 오송에 위치한 대한산란계협회 본부와 경기·충남지회 등 3곳에 조사관을 보내 관련 문서와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 조사 초점은 협회가 제시한 '고시가격’'을 회원사들이 사실상 따르도록 강제했는지 여부다.
공정위는 만약 협회가 고시가격을 통해 회원사들 간 가격 협의를 유도하거나 강제했다면, 이는 공정거래법상 '사업자단체의 부당한 공동행위'로 판단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위반 사실이 확인되면 담합에 해당하는 중대한 법 위반으로 제재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재 달걀값은 급등세다.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올해 6월 둘째 주(24주차) 기준 특란 30개 소비자 평균 가격은 7022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 7월 이후 약 4년 만에 다시 7000원을 넘은 수치다.
달걀값 상승 원인을 두고도 논란이 일고 있다. 공정위는 협회의 가격 결정 행위를 주시하고 있는 반면, 산란계협회 측은 생산자단체의 담합이 아니라 유통·소매 단계에서의 폭리와 정부 규제가 가격 상승의 주된 요인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공정위 관계자는 "조사 중인 사안이라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긴 어렵다"면서도 "법 위반 사실이 확인되면 엄정하게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