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최고경영자)는 회사의 비전과 목표, 방향성 전반을 이끈다. 다양한 사업 전략을 세운 후 이를 진두지휘한다. CEO가 잘못된 선택과 판단을 내리면 기업은 한순간에 나락으로 빠질 수 있다. 그만큼 CEO의 책임은 막중하다. 이에 <EBN 산업경제>는 [건설사 CEO 포커스] 시리즈를 통해 CEO들의 면면을 샅샅이 살펴보고자 한다.<편집자주>

KCC건설이 돌아왔다. 정몽열 회장과 심광주 사장의 각자대표 체제 아래, 수주 실적은 두 배로 뛰었고 수익성은 눈에 띄게 개선됐다. 민간 중심으로 전환 중인 사업 포트폴리오와 유동성 확충, 그리고 노련한 경영진의 손끝에서 되살아난 실적 곡선은 침체에 빠졌던 건설업계 속 돋보이는 반전이다. 취임 1년 만에 반등을 이끈 심광주 사장의 존재감이 커지는 가운데, 그룹 차원의 안정적 성장 전략을 설계 중인 정몽열 회장의 다음 수도 관심을 모은다.
◆ 분주했던 올 상반기...수주액 두 배 '껑충'
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KCC건설의 올해 상반기는 지난해보다 더욱 활발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수주 규모의 급증이다. 지난해 상반기 2531억원에 머물렀던 수주액은 올해 같은 기간 5015억원으로 약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수주 건수 역시 지난해 1건에서 올해는 3건으로 늘어나며, 질적·양적 성장을 동시에 꾀했다.
대폭 늘어난 유동자산도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지난해 말 9087억원 수준이던 유동자산은 올 1분기 1조616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이 같은 증가세는 단기금융상품이 220억원에서 2067억원으로 약 1847억원 늘어난 점, 미청구공사손상차손누계액이 644억원에서 272억원으로 약 372억원 줄어든 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KCC건설의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176억원)보다 64.2% 늘어난 289억원을 기록했다.
매출 구성 면에서도 도급 중심 구조가 여전히 뚜렷하다. 1분기 전체 매출에서 건축 도급공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81.7%, 도급공사 전체 비중은 99.97%에 달한다. 공시된 수주 내역 가운데 수도권 오피스, 물류센터, 공동주택 등 민간 발주로 추정되는 신축공사가 포함되어 있어, 과거 공공 중심에서 민간 중심으로의 수주 구조 전환이 일부 진행 중인 것으로 해석된다.
KCC건설이 활력을 되찾자, 업계의 시선은 심광주 사장에게로 향한다.
심 대표는 KCC건설에서만 40년 가까이 근무한 '정통 KCC맨'이다. 기술본부장, 건축본부장 등 주요 보직을 두루 거치며 회사는 물론 건설업 전반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갖춘 인물로 꼽힌다.
1956년생인 그는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한 뒤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건축공학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1984년 금강에 입사한 후, 1989년 금강에서 분할 설립된 금강종합건설(현 KCC건설)로 자리를 옮겨 2022년까지 재직했다. 이후 2008년 임원으로 승진하고 2011년 상무, 2015년 전무, 2020년 부사장을 거쳐 지난해 3월 대표이사에 선임됐다.
◆ 정몽열 회장, 다음 행보는?
KCC건설의 수장인 정몽열 회장 역시 기업의 중장기 전략을 이끈 핵심 인물로 주목받고 있다. KCC그룹 오너일가인 정 회장은 그룹 내 복수의 계열사를 총괄하며 KCC건설의 안정적인 외형 성장과 수익성 개선에 힘을 보태고 있다.
특히 그룹 차원의 자산 유동화와 계열사 간 협업을 통해 건설부문의 리스크 분산과 재무 건전성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최근 몇 년간 이어진 고금리·고물가·부동산 경기 위축이라는 삼중고 속에서도 KCC건설이 비교적 안정적인 실적 흐름을 유지할 수 있었던 배경엔 정 회장의 전략적 의사결정이 있었다는 분석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정몽열 회장은 KCC그룹 전체의 투자 방향과 자산 재편 등 거시적 전략을 짜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건설부문은 심광주 대표의 전문성과 실행력을 바탕으로, 그룹 차원에선 오너가 신중한 성장 관리자로서 역할을 분담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정 회장의 다음 행보는 그룹 계열사 간 시너지를 극대화하면서도,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안정적 성장' 전략을 이어갈 것으로 짐작된다. KCC건설은 향후 디벨로퍼형 사업 확장, 민간 수주 확대, 해외사업 검토 등 미래 먹거리 확보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인다.
- [건설사 CEO 포커스⑪] 부문장에 '건설통' 박유신 앉혔더니…BS한양 '파죽지세'
- [건설사 CEO 포커스⑩] 한신공영 전재식標 '현장 경영' 빛났다
- [건설사 CEO 포커스⑨] ‘불황 따윈 몰라요’…‘건설통’ 윤진오 동부건설 대표의 저력
- KCC건설 '오퍼스 한강 스위첸' 견본주택 27일 오픈…김포 한강변 대단지 공급
- [건설사 CEO 포커스⑭] 수익율 20~30%…‘투자의 귀재’ 정원철 시티건설 회장
- [건설사 CEO 포커스⑮] 불황에도…대광건영 조영훈號, 외형·내실 '쌍끌이'
- 불황에도 웃은 위본건설...시평 37계단 껑충, '100대 건설사' 첫 진입
- [건설사 CEO 포커스⑯] '소통·화합' 기치 든 대방건설 구찬우號, '주택 강자' 향해 성큼성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