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달 국내 4대 금융그룹의 상반기 실적이 발표되는 가운데, 역대 최대 실적 달성이 예상된다. 4대 금융지주 사옥. [출처=각사]](https://cdn.ebn.co.kr/news/photo/202507/1668764_684075_2414.jpeg)
국내 4대 금융지주는 올 상반기까지 예대금리차 확대로 견조한 이자이익 증가세가 이어져 역대 최대실적 달성이 예상된다.
반면 하반기 금융지주 실적 전망은 어둡다. 정부가 전례없이 강력한 대출 규제를 시행한 만큼 하반기부터는 수익성 둔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는 4대 금융지주의 올 상반기 합산 당기순익 컨세서스를 약 9조7646억원으로 추정했다. 전년도 상반기(9조3526억원) 보다 4.4%나 늘어난 역대 최대 실적이다.
KB금융이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3조2841억원을 달성하며 ‘리딩 금융’ 자리를 지킬 것으로 예상된다.
이어 신한금융 이어 신한금융이 2조8909억원으로 전년 대비 5.2%, 하나금융이 2조1669억원으로 4.9% 증가한 당기순이익을 달성할 전망이다.
우리금융만 1분기 퇴직금 등 일회성 비용 영향으로 전년 대비 18.7% 감소한 1조422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둘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역대급 실적이 예상되는 건 은행들의 이자이익이 견고한 성장세를 보이면서다. 1분기에만 10조6419억원의 이자이익을 거둔 것을 감안하면 상반기에 20조원을 웃돌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10월부터 네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3.50%에서 2.50%로 1%p 내렸지만 은행들이 예금금리는 낮추면서 대출금리는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식으로 꾸준히 이자이익을 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5월 예금은행 예대금리차(신규취급액 기준)는 1.54%p로 전월 대비 0.06%p 늘었다. 3월 1.52%p에서 4월 1.48%p로 줄었던 금리 차이가 5월 들어 다시 커졌다.
최근에도 예금금리가 내려가는 속도를 대출금리가 따라잡지 못했다. 5월 기준 저축성수신금리(예금금리)는 연 2.63%로 전월 대비 0.08%p 하락했는데, 대출금리는 연 4.17%로 전월 대비 0.02%p 소폭 조정됐다.
아울러 3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 시행 전 대출 수요가 몰리면서 은행권의 대출 잔액도 불어났다.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3월 말 738조5511억원에서 지난달 26일 기준 752조9948억원으로 석달 만에 14조4437억원이나 증가했다.
금융권에서는 금융지주의 역대급 실적 잔치는 올 상반기로 끝이라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하반기부터는 실적 둔화가 불가피하다는 설명이다.
우선 최근 급증하고 있는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금융당국이 가계대출에 대한 관리수준을 강화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칼을 빼들면서 대출 규모는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지난 27일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기관 합동 '긴급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고 수도권.규제지역 주담대 한도 6억원 제한, 다주택자 주담대 금지, 최장 만기 30년 축소 등 고가주택 '영끌' 수요를 겨냥한 강력한 규제를 내놨다. 하반기 대출총량을 기존의 50%로 줄이겠다고도 밝혔다.
경기침체로 연체율이 상승하는 추세이다 보니 기업대출 확대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대출이 줄어들면 이자이익도 줄어들 수 밖에 없다.
덩달아 대손충당금 부담도 커진다. 대손충당금은 금융기관이 대출을 했을 때 입을 수 있는 손실을 평가한 금액으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손실에 대비해 미리 쌓아둬야 한다. 대손충당금 적립 규모가 늘어나면 이익은 줄어든다.
새정부가 은행권을 향한 추가적인 상생부담을 주고 있는 점도 실적에 부정적 요인이다. 이재명 정부는 취약계층·소상공인 '빚 탕감' 등 서민금융 지원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엔 최근 7년 이상, 5000만원 이하의 빚을 진 차주의 채무를 탕감해 준다고 발표한 가운데 8000억원의 예산 중 절반은 민간 금융사들의 재원으로 충당될 예정이다. 배드뱅크 설립 자금 압박이 실적에 부담을 줄 수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가계대출 실적이 은행의 총이익에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금융지주 실적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며 “경기불황도 지속되고 있어 충당금 부담도 커지면서 하반기부터 금융지주 성장 폭이 이전보다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 '내부통제 강화 무색' 또 터진 금융사고…은행권 '긴장'
- 멈춘 CBDC 사업… 은행 '스테이블코인' 준비 속도
- KB 잡아라…시니어사업 닻 올리는 하나·우리금융
- 한달새 6.7조 불어난 가계대출…'막차 심리'에 주담대 급증
- 카카오뱅크, 고강도 대출 규제 돌파구 있나
- 금융지주, 하반기 경영전략 키워드는 'AI'
- KB금융, 시니어 고객 겨냥 종합케어 전략 본격 확대
- [금융지주 밸류업] KB금융, PBR 1배 향한 도전…기회와 위기 공존
- "책임경영 일환" 자사주 매입한 금융지주 회장, 억대 수익
- 금융당국, 배드뱅크 설립 전 채권 현황 조사…전세사기 구제 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