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한미 간 통상·안보 현안 협의를 위해 6일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했다. [출처=연합]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한미 간 통상·안보 현안 협의를 위해 6일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했다. [출처=연합]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한미 간 통상·안보 현안 협의를 위해 6일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했다. 이번 방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설정한 상호관세 유예기간 만료(8일)를 불과 이틀 앞두고 이뤄져, 관세율 조건 조정 또는 유예기간 연장 가능성이 주목된다.

위 실장은 이날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출국 직전 기자들과 만나 “그동안 한미 간 통상과 안보 관련 여러 현안이 협의돼 왔다”며 “현재 협의 국면이 중요한 상황으로 들어서면서 제 차원에서 관여를 늘리기 위해 미국을 방문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이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의에서도 유사한 협의를 진행했으며, 이번 방미 역시 이를 이어가는 차원”이라며 “협의 결과는 돌아온 뒤 말씀드리겠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협의 분야에 대해선 “관세협상뿐 아니라 안보 사안 등 다양한 현안이 있다”고 설명했다.

위 실장은 한미정상회담 일정이 논의될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여러 현안 중 하나로 이에 대해서도 협의할 것”이라며 가능성을 열어뒀다. 미국 측 면담 인사에 대해서는 “제 카운터파트와의 면담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혀, 현지에서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만날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재명 대통령이 주요국으로의 특사 파견을 검토 중인 것과 관련해선 “아직 협의 중인 사안이라 내용을 밝히기 어렵고, 파견 시점도 판단하기 어렵다”고 말을 아꼈다.

한편, 하루 앞서 방미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5일(현지시간) 워싱턴DC 유니언역에서 특파원들과 만나 “각자 역할을 분담해 ‘올코트 프레싱’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위 실장은 “여러 현안이 중요한 국면으로 접어든 만큼 정부 차원의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위 실장은 ‘귀국 전 반드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가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지금은 출발 시간이 임박해 구체적으로 밝히기 어렵다”며 “결과로 말씀드리겠다”고 답했다.

이번 방미는 관세협상 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이뤄지는 만큼, 향후 한미 간 통상 및 안보 관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