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장에서 탑승객 유가족들이 간소한 상을 차려두고 희생자들에게 새해 인사를 하고 있다.[연합]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장에서 탑승객 유가족들이 간소한 상을 차려두고 희생자들에게 새해 인사를 하고 있다.[연합]

국토교통부가 전국 공항 시설에 대한 전면적인 안전 점검에 나선다.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참사의 피해의 피해를 키운 것으로 지적된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지적에서 비롯됐다.

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주종완 항공정책실장은 "전국 공항에 설치된 항행 안전 시설의 재질 등을 현재 파악 중"이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방위각 시설 지지대의 재질과 활주로로부터의 거리 등이 국내외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면밀히 조사하고 있다.

방위각 시설은 항공기의 정확한 착륙을 돕는 항행 안전 장치다. 이번 사고에서 제주항공 여객기는 이 시설의 콘크리트 구조물과 충돌해 대형 참사로 이어졌다.

국토부에 따르면, 무안공항의 콘크리트 시설 구조는 약 20년 전 설계 당시부터 적용됐다. 1999년부터 금호건설 컨소시엄이 국토부와 서울지방항공청의 발주로 설계 및 시공을 담당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서울지방항공청이 보유한 설계 도면과 승인 문서를 통해 초기 준공 상태를 확인했으며, 금호건설의 구체적인 시공 방법을 파악 중"이라고 설명했다.

국토부의 초기 해명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추가 조사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국토부는 당초 무안공항 방위각 시설이 규정상 문제가 없으며 해외 공항에도 유사한 구조물이 있다고 밝혔으나, 이후 관련 규정과 실제 해외 공항 사례에 대한 반론이 제기됐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등 주요 선진국 규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빠른 시일 내 별도로 설명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토부는 사고 항공기의 조종실 음성기록장치(CVR) 자료 추출을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조사의 공정성을 위해 녹음 파일의 공개는 어려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 비행자료기록장치(FDR)의 경우, 파손으로 인해 데이터 추출 방법을 최종 점검 중이라고 전했다.

사고기의 1차 착륙 시도 당시 랜딩기어 작동 여부와 19활주로 방향으로의 착륙 경위에 대해서는 "여러 증언을 종합해 조사 과정에서 살펴볼 계획"이라며 "조종사와 관제사 간 상호 합의 하에 착륙을 시도한 과정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