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울산공장 선적 부두 [제공=현대자동차]](https://cdn.ebn.co.kr/news/photo/202501/1649059_661374_2842.jpg)
도널드 트럼프 시대를 맞아 국내 자동차 업계가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가장 큰 현안인 무역관세를 넘어도 전기차 보조금 및 탄소세 등 만만치 않은 과제가 산적해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식이 백악관에서 진행된다. 트럼프는 지난 18일(현지시간) 자택인 플로리다를 떠나 백악관이 있는 워싱턴 DC로 이동한 상태다. 지난 2021년 1월 백악관을 떠난지 4년 만에 워싱턴으로 재입성하게 됐다.
트럼프 2기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서 국내 자동차 산업에 미칠 영향에 촉각이 모아진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예고한 무역관세는 당장 영향을 미칠 전망이지만 전기차 보조금 및 탄소세 도입 여부도 관심사다.
올해 글로벌 자동차 수요는 9471만대로 올해보다 3.3%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둔화)'이 이어지고 있고 최대시장인 중국의 저성장 기조가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내수는 인플레이션 완화 및 금리인하 기대에 의한 소비심리 개선, EV 대체 구매에 따른 HEV 판매증가로 반등이 기대되지만 상승폭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같은 기간 국내 자동차 판매는 1.3% 늘어난 166만대로 예상됐다.
전기차 캐즘과 높은 가계부채, 자산시장 불안정 등은 성장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국내 생산은 내수 반등에도 불구하고 해외 현지생산 증가세를 고려, 전년 대비 1.4% 감소한 407만대로 2년 연속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미국은 IRA(인플레이션감축법)에 근거한 전기차 세액공제 폐지설을 게획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공약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려면 전기차 세액공제를 폐지해 예산을 절약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미국의 최대 전기차 판매업체인 테슬라도 정권인수팀에 보조금 폐지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기차 보조금이 폐지될 경우 곧바로 전기차 판매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전기차 판매가 줄어들 경우 전기차 생산업체는 피해가 전망된다.
하이브리드를 포함한 내연기관 시대가 단기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현대차그룹은 하이브리드 생산량을 늘리는 유연한 대응 전략을 구사한다. 당초 HMGMA는 전기차 전용공장으로 마련됐으나 현대차그룹은 이를 하이브리드 생산도 가능하도록 변경했다.
미국의 탄소세 도입 여부에도 촉각이 모아지고 있다. 탄소세는 제품 생산·사용 과정에서 탄소를 배출하는 상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제도다.
트럼프 2기 첫 재무장관으로 내정된 스콧 베센트 지명자는 지난 16일 상원 인사청문회에서 트럼프 당선인이 공약한 관세 정책에 탄소세를 포함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당시 베센트 지명자는 ‘외국 오염 수수료’에 대한 빌 캐시디 의원의 질문에 “전체 관세 프로그램의 일부가 될 수 있는 매우 흥미로운 아이디어”라고 답했다.
자동차는 생산 과정에서 탄소배출이 많은 산업은 아니지만 도장, 프레스 등 공정에서 주로 발생한다. 트럼프 당선인이 탄소세를 무역장벽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업계 다수 관계자는 "자동차는 작년 한국의 주요 수출품이었지만 미국 입장에서는 보호해야 하는 산업으로 지목되고 있다"며 "다만 일각에서는 탄소세 도입으로 중국 자동차의 미국 시장 진입이 막히면 한국에는 긍정적인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고 말했다.
- [트럼프 2기 개막] 철강시장, 미국發 '보호무역' 돌파구 찾기
- [트럼프 2기 개막] 산업계, 보편관세·강달러 대비 고심…"불확실성 본격화"
- [트럼프 2기 개막] 관세 폭탄 현실화될까···수출 20조~62조 감소 우려
- 트럼프 "20일부터 워싱턴의 실패하고 부패한 정치 끝내겠다"
- [트럼프 2기 개막] 자국 중심 공급망 재편 움직임…K바이오엔 '기회의 바람'
- [트럼프 2기 개막] 잘 나가는 K푸드·뷰티…복병은 높은 美 수출의존도
- 현대모비스, 1300개 협력사와 '동반 성장' 이어간다
- 해외로 뻗는 현대모비스 인기…CES서 석·박사 인재 모시기 '사활'
- [EBN 오늘(20일) 이슈 종합] 관세 폭탄 현실화될까, 전기차 보조금·탄소세 불확실성 고조 등
- 글로벌 경기침체 여파에도…현대차·기아, 실적 경신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