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글로벌 상호 관세 도입이 국내 대형마트의 PB 확대 전략 기회로 해석되고 있다. [출처=연합뉴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57995_671524_5054.jpg)
미국의 글로벌 상호 관세 도입이 유통업계에 새로운 균열을 만들고 있다.
상호 관세가 공식화하면서 국내 유통업계가 수입 제품 가격 인상 압력에 직면했지만 오히려 PB(Private Brand·자체 브랜드) 확대 전략으로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면서다. 관세가 '위기'가 아닌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해석이다.
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상호 관세 체계를 도입하면서, 미국산 제품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높은 유통업계 전반에 긴장감이 돌고 있다.
코스트코처럼 미국 본사와 직접 연계된 구조는 물론, 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 등도 식품, 건강기능식품, 생필품 등 일부 미국산 제품을 수입·판매하고 있어 관세 인상 시 상품 원가 압력이 불가피하다.
환율 변수까지 더해지면 수입제품 전반에 대한 가격 인상 가능성이 높아진다. 소비자 가격에 전가될 경우,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 위축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하지만 이번 상황은 대형마트의 PB 전략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PB는 유통사가 자체 기획해 제조사와 직접 계약을 통해 생산하는 방식으로, 유통 마진을 줄이고 원가를 통제할 수 있다. 수입 제품이 가격 경쟁력을 잃는 동안, PB는 가격 방어가 가능해 상대적으로 '가성비'가 더욱 돋보이게 된다.
대형마트 관계자는 "미국산 건강식품, 과자류, 조미료, 생활용품 등이 관세와 환율 상승으로 원가가 올라가게 되면 가격경쟁력을 상실한다"며 "비슷한 품질의 PB 제품이 소비자 선택지로 급부상할 가능성이 커지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마트의 '노브랜드' 홈플러스의 '심플러스' 롯데마트의 '온리프라이스' 등은 이미 자체 브랜드의 신뢰도와 품질 경쟁력을 확보하며 대체재 이상의 역할을 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PB는 더 이상 '싸지만 품질 낮은 제품'이 아니다"며 "관세나 환율과 같은 외부 리스크에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소비자 입장에서 가장 먼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PB 제품은 대부분 대용량과 정찰가 체계를 기반으로 하고 가격 변동이 잦은 수입 제품 대비 안정성을 갖춘다. 특히 환율과 관세에 따라 매번 가격이 바뀌는 수입 브랜드와 달리, PB는 일정 기간 동일한 가격을 유지할 수 있어 소비자 신뢰 확보에 유리하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PB의 강점은 가격이 예측 가능하다는 점"이라며 "변동성이 커지는 시기일수록 고객들은 가성비를 고려하게 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유통사들은 이미 PB 라인업 확대와 품질 강화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이마트는 전체 식품군 중 PB 비중을 40%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홈플러스는 '심플러스' 리뉴얼을 통해 프리미엄 이미지까지 확보 중이다. 롯데마트는 초저가 균일가 전략을 내세운 '온리프라이스'로 1000원·3000원대 PB 제품을 대거 확장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발 관세 충격은 오히려 유통사가 PB를 전략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정당한 이유가 되는 셈"이라며 "외부 변수에 흔들리지 않는 독자 브랜드 경쟁력 확보가 장기적으로 유통사의 생존 전략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 트럼프 "엄청난 제안 있다면 관세 인하 고려"…협상 여지 시사
- [트럼프 관세전쟁] "반도체 제품도 조만간 관세 부과"
- [전문] 트럼프 대통령, 상호주의 추구로 경제 재건 및 국가 안보 회복
- [트럼프 관세전쟁] ‘갓성비’ K뷰티 열풍에 찬물…앞길도 ‘먹구름’
- [트럼프 관세전쟁] K-배터리도 간접 영향권…"영향 예의주시"
- [트럼프 관세전쟁] 애플·삼성에도 관세폭탄…스마트폰 업계 파장 예고
- [트럼프 관세전쟁] 車·가전 수출 후폭풍 전자·통신업종 '긴장'
- 버거·치킨플레이션에 이중가격제까지…외식 부담 가중
- 尹파면에 원·달러 환율 1430원대로 하락…정치 불확실성 해소
- 홈플러스 "퇴직연금 1100억원 미납…퇴직금 지급은 문제없어"
- 식품·외식 물가 뛴다…원자재·인건비·에너지비용 상승
- '회생' 홈플러스 두 가치 충돌…공익채권 vs 사적재산권
- 롯데마트, 3주간 연중 최대 PB할인 행사 'PB 쇼핑 페스타'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