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1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회’에서 자본시장 [출처= EBN]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1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회’에서 자본시장 선진화 방안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출처= EBN]

“싫은 얘기인데 국장(한국주식시장) 탈출은 지능순이라는 그런 황당한 얘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코스피 지수가 2500 왔다갔다하고 있는데 이게 4000~5000 간다면 주식 보유자들, 나아가 대한민국 전체 국부가 늘어나지 않겠습니까? 그러려면 결국 주식 시장이 규칙이 지켜지는 정상적인 시장이 돼야 합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1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회’에서 이 같이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 후보를 비롯해 더불어민주당에서 윤후덕, 강유정, 이해식, 김태선 의원이 참석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과 △최광혁 LS증권 △윤여철 유안타증권 △이종형 키움증권 △박희찬 미래에셋증권 △유종우 한국투자증권 △조수홍 NH투자증권 △윤석모 삼성증권 △김영일 대신증권 △노근창 현대차증권 △고태봉 iM증권 △김혜은 모간스탠리 △최도연 SK증권 △김학균 신영증권 △윤창용 신한투자증권 △김동원 KB증권 △박영훈 한화투자증권 △이승훈 IBK투자증권 등 17곳 증권사의 리서치 센터장이 참석했다.

이 후보는 “대한민국 경제가 너무 어렵다”며 “일시적인 경기 침체 문제를 넘어서서 구조적 위험에 처해 있는 것 같아 자본시장이 정상화, 또 활성화되는 게 정말 중요하다”고 운을 뗐다.

그는 “대한민국의 자산 시장이 부동산 중심으로 돼 있는데 모두가 부동산에 매달리는 이유가 자본시장이 비정상적이기 때문”이라며 “주식 투자해서 배당 받아서 생활비도 쓰고 그래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배당도 별로 잘 안 해주고, 누가 주가조작해서 훔쳐가고, 우량주(살찐 암소)라고 생각해서 장기 투자하려고 가지고 있는데 어느날 송아지 주인이 딴 사람이 돼 버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는 “대통령 선거에서 떨어지고 상당 기간 정치를 안 하겠다 싶어 그때 연구 끝에 조선주를 좀 사놨는데 국회의원이 되면서 손해를 보고 팔았는데 현재 3배가 넘게 올랐다”며 과거 주식 매매 경험을 언급하면서 주식시장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이 후보는 “아실지 모르겠지만 지금은 휴면 개미(개인투자자)이지만 저도 꽤 큰 개미 중 하나였고, 정치를 그만두면 다시 또 주식시장으로 되돌아갈 가능성이 99.9%”라며 “그만큼 제가 관심 있는 영역이기도 한데 저는 우리 국민들께서 자본시장에서 더 혜택을 누리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핵심적으로 주식 시장이 조작하는 거 절대 못하는 규칙이 지켜지는 정상적인 시장이 돼야 한다”며 “동시에 엉터리 공시, 비밀 정보를 이용하는 그런 불공정이 완전히 사라진 시장으로 가야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 후보는 대주주들의 지배권 남용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그는 “이번에 상법 개정에 실패했는데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다시 해야 한다”며 “국제 경쟁을 하겠다고 하면서 집안(국내)에서 혜택보고 규칙 안 지켜서 부당한 이익 얻으면서 어떻게 전 세계 기업들하고 경쟁을 하고 어떻게 살아남겠냐”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증시 저평가) 문제가 지금 너무 심화돼 있다”며 “혹시 전쟁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는 나라에 투자하기 어려운 만큼 평화와 안정 구축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 앞서 이 후보는 페이스북을 통해 주식시장 선진화 관련 공약을 제시한 바 있다. 해당 공약에서도 이 후보는 “주가조작에 단 한 번만 가담해도 시장에서 퇴출하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도입하겠다”며 “불공정 거래에 대한 사전 모니터링과 범죄 엄단 시스템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미공개 정보를 활용한 내부자 거래, 단기차익 실현 등에 대한 강력한 규제 방안을 제시했다.

또 “불투명한 지배구조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주범”이라며 “집중투표제 활성화, 감사위원 분리 선출 확대, 쪼개기 상장 방지,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을 통해 소액주주 권리 강화와 투명한 기업 경영을 촉진하겠다”고도 말했다.

그는 “공정한 시장과 투명한 기업, 보호받는 투자자라는 3대 원칙을 확립해 주식시장에 프리미엄을 더하겠다”며 “코스피 5000 시대는 단순한 숫자의 목표가 아니라, 대한민국 자본시장이 신뢰받고 선진화되었다는 증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