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생명 사옥[제공=교보생명]](https://cdn.ebn.co.kr/news/photo/202411/1644236_655813_5842.jpg)
교보생명은 지난 12일 보험금 청구권 신탁을 출시한 지 2주 만에 100호 계약을 돌파했다며 이 같은 사례를 27일 소개했다. 보험금 청구권 신탁은 사망보험금을 계약자가 원하는 대로 신탁회사가 운용·관리해 신탁수익자에게 지급하는 제도다.
교보생명은 사례를 들었다. 말기암 판정을 받은 40대 여성 A씨는 초등학생 자녀를 위해 보험금 청구권 신탁 계약을 체결했다. 그는 6억원의 사망보험금에서 향후 9년간 매월 300만원씩을 교육비, 생활비 명목으로 지급하고, 자녀가 대학에 입학하면 1억원, 대학을 졸업하면 남은 2억원을 지급하도록 설계했다.
70대 남성 B씨는 앞으로 혼자 남게 될지 모를 배우자를 위해 보험금 청구권 신탁 계약을 체결했다. 자신이 먼저 사망하면 사망보험금 3억원이 소진될 때까지 매월 300만원씩 배우자에게 지급되도록 했다.
교보생명 보험금 청구권 신탁 계약자를 살펴보면 여성이 57%로, 남성(43%)에 비해 높은 비율에 달했다.
교보생명은 "여성의 사회 진출이 늘어나고 종신보험의 여성 가입자 수도 늘어난 영향"이라고 판단했다.
연령별로는 50대가 34%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32%), 60~70대(26%), 30대(8%) 순이었다.
사망보험금은 '3000만원∼1억원 미만'이 5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1억∼5억원 미만' (41%), '5억∼10억원 미만'(5%), '10억원 이상'(2%)이 뒤를 이었다.
계약자가 요청한 보험금 지급방식은 '(미성년) 자녀 양육비, 교육비 월 분할지급'이 5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배우자 생활비, 의료비 등 월 분할지급'(22%), '부양가족 생활비 분할지급'(21%), '미성년 자녀 성인 이후 일시지급'(3%) 순이었다.
- 이복현 "은행 점포 축소, 금융접근권 고민했나" 지적
- 뜨거운 감자 ‘상법개정’…국내 증시 ‘득일까 독일까’
- [보험썰] "무책임한 회계법인, '낙관·비관적 보험해지율 가정' 모두 인정"
- 이복현 금감원장 “동아시아 3국 금융수장과 감독공조 협의”
- [증권 & Now] 한국투자증권, 아시아 금융 중심지서 글로벌 투자 기회 모색 등
- 무·저해지 해지율 낙관한 롯데·DB·현대 '우려' vs 삼성·메리츠 보수적 설계 '든든'
- 이복현 금감원장, 28일 금융지주 이사회 의장 만난다
- 이복현, KB·우리금융에 "자회사 관리·보험사 인수 철저하라"
- 이복현, 베트남·홍콩·인니 방문…해외 IR·감독기구 수장 면담
- [e코멘터리] 윤석열의 사과, 이복현의 사과
- [보험썰] '낙관이냐, 보수냐'…금감원 해지율 개편에 손보사 '반대10' vs '찬성1'
- 금리 인하 덕 못보네…가계·기업대출 다 걸어잠그는 은행들
- [보험썰] '역대급 제안' 메리츠화재의 MG손보 인수 셈법
- [e코멘터리] '복 사장'이 후임을 찾고 있다?
- [e코멘터리] 복수거래소 시대 눈앞…증권업계 위기 또는 기회
- [e코멘터리] 퇴직연금 시장에 국민연금 등장?…금투업계 '결사반대'
- [EBN 칼럼] 교보생명 주식 분쟁 일단락…전무후무한 비상장사 주당가치 고무줄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