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제공=연합]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제공=연합]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은행 점포 축소 과정에서 금융업계가 충분히 고민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원장은 26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금융접근성 제고를 위한 금융권 공감의 장' 행사 환영사에서 "금융권이 디지털 전환과 비용 절감에 집중하며 점포 등은 축소하는 경향을 보여왔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국내 은행 점포는 지난달 말 현재 5690개로 5년간 1189개 폐쇄됐다. 수도권에서 708개, 비수도권에서 481개가 사라졌다. 

전체 폐쇄 점포의 69%는 4대 은행 점포로, 점포 폐쇄 비율은 KB국민은행이 26.3%, 우리은행이 24%, 신한은행이 22.9%, 하나은행이 18.8%를 기록했다.

그는 "점포 축소 과정에서 고령자, 장애인, 비도심 거주자 등 취약한 금융소비자의 금융거래 환경이 악화하고 있다"며 "금융산업은 공적기능을 수행하도록 위임받은 산업이며 소비자들의 금융 접근권을 보장하는 것은 금융산업의 책무"라고 강조했다.

이어 "공동 점포, 이동 점포와 같은 대체수단을 활성화하는 한편 고령층 등 취약계층을 위한 디지털 금융교육을 강화하고 장애인의 금융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인프라도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금감원은 연내 은행권과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금융접근성 제고 방안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