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시장=연합]
[서울 시내 시장=연합]

소득·소비·자산 등 우리나라 가계 살림살이 지수를 가늠할 수 이는 조사 결과가 다음 주(12월 2∼6일) 나온다. 

우선 통계청은 3일 '11월 소비자물가동향' 통계를 소개한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9월(1.6%) 1%대로 내려온 뒤 10월 1.3%까지 낮아졌다.

4일에는 국민 기대수명을 보여주는 '2023년 생명표'가 나온다. 생명표는 현재의 연령별 사망 수준이 유지된다면 특정 연령의 사람이 향후 몇 세까지 살 수 있는지 기대여명을 추산한 결과다. 

같은 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12월 세계경제전망'도 나온다. 

OECD는 지난 9월 전망에서 우리나라의 성장률을 2.5%로 전망한 바 있다.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이 5일 공동 발표하는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도 관심사다.

우리나라 가계가 얼마나 벌고 얼마나 쓰는지, 자산과 이자 부담은 어느 정도인지, 노후 준비가 잘 되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통계다.

작년 조사에 따르면 작년 3월 말 기준으로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5억2727만원으로 전년보다 3.7% 줄었다. 

한국은행은 5일 '3분기 국민소득(잠정)' 통계를 발표한다. 3분기 국민소득 속보치에서는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전분기대비)이 0.1%에 불과해 우려를 안겼다. 

한은은 6일 '10월 국제수지(잠정)'도 내놓는다.

9월의 경우 반도체·휴대전화 등위 수출 호조 덕에 경상수지가 111억2000만달러(약 15조5800억원) 흑자를 기록했다.

10월까지 6개월 연속 경상수지 흑자가 예상되지만, 수출 증가세 둔화 등으로 상품수지 흑자 규모가 줄었을지 시선이 모아진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