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각 사]](https://cdn.ebn.co.kr/news/photo/202501/1648590_660848_201.jpeg)
오너가 있는 대기업집단 총수 4명 중 1명은 등기임원을 맡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미등기임원인 총수 비율은 2023년(74명 중 26명·35.1%)보다 줄었다.
14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자산 5조원 이상인 대기업 집단 내 개인 총수들의 등기 임원 여부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지난해 총수 78명 중 21명(26.9%)은 등기 임원을 맡지 않았다. 미등기 임원인 총수 비율이 2023년(35.1%)에 견줘 약간 낮아졌으나, 여전히 총수 4명 중 1명 이상은 등기 임원이 아닌 셈이다.
총수가 등기임원이 아닌 대기업은 △삼성(이재용) △한화(김승연) △HD현대(정몽준) △신세계(이명희) △CJ(이재현) △DL(이해욱) △미래에셋(박현주) △네이버(이해진) △금호아시아나(박삼구) △DB(김준기) 등이다.
여기에 △에코프로(이동채) △이랜드(박성수) △한국타이어(조양래) △태광(이호진) △삼천리(이만득) △대방건설(구교운) △유진(유경선) △BGF(홍석조) △하이트진로(박문덕) △파라다이스(전필립) 등도 있다.
등기임원은 기업 이사회에 참여해 주요 의사 결정을 내리고 법적 책임을 진다. 반면 미등기임원은 공식적인 이사회 구성원이 아니기 때문에 법적 책임은 없으나, 경영에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부영, 코오롱, 금호석유화학, 동원은 지난해 총수가 새롭게 등기임원에 올랐다.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과 박찬구 금호석유화학그룹 회장은 2023년 광복절 특사로 사면된 이후 등기임원으로 복귀했다.
이중근 회장은 등기임원 겸직이 가장 많은 총수이기도 하다. 9개 계열사 대표이사, 6개 사내이사를 포함해 총 15곳에서 등기임원을 맡고 있다.
코오롱(이웅열 명예회장→이규호 부회장)과 동원(김재철 명예회장→김남정 회장)은 각각 총수가 바뀌면서 등기임원 명단에 올랐다.
오너 친인척의 등기임원 등재는 2023년 294명이었는데 전체 계열사가 795개에서 811개로 늘면서 2024년에 310명으로 많아졌다. 재계 경영권 승계 작업이 가속한 영향으로 리더스인덱스는 분석했다. 2곳 이상에서 등기이사를 맡은 총수 친인척은 2023년 147명, 2024년 137명이었다. 5곳 이상 계열사 겸직 사례는 33명에서 26명으로 줄었다.
- 전기연구원, 전기차 한파 문제 극복 ‘금속섬유천 면상 발열체’ 개발
- 재계 "4조원대 협력사 납품 대금 미리 푼다"
- "불확실성 때문에"…국내 기업 R&D 투자 심리 '위축'
- 롯데그룹, 파트너사 납품대금 6863억원 조기 지급
- SKT, AI 인프라 시장 공략 본격화… "엔비디아 GPU 담았다"
- [EBN 오늘(12일) 이슈 종합] 국민연금 보험료율 27년간 동결…"13%라도 조속한 인상 필요" 등
- 설 명절 잊은 재계 총수들…경영구상 몰두 "불확실성 대응 총력"
- 정부, 미등기 토지 국유화 추진…규모만 여의도 188배
- 항소심 선고 앞둔 이재용 삼성 회장…대외 행보 '조용'
- 2심 선고 기로 선 이재용…삼성 '경영시계' 다시 돌까
- KAIST, 이중근 회장에 명예경영학 박사학위 수여
- "에코프로그룹 CEO, 연봉 30% 자사주로 받는다"
- 박삼구 前 금호 회장, 항소심 결론 언제?
- 태광 이호진 전 회장, 김치·와인 강매 '혐의없음'
- [해외법인 리포트②] 돌파구는 아직…캄보디아 법인, 희망과 불확실 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