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EBN 챗GPT 제작 이미지]](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58432_672033_5426.jpg)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잇달아 조(兆) 단위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성사시키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술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와 알테오젠이 각각 영국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와 아스트라제네카 계열사 메디뮨과 대규모 계약을 맺었다.
8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에이비엘바이오는 전날 GSK와 총 4조1000억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계약은 ▲선급금 및 단기 마일스톤(기술료) 7710만 파운드(약 1481억원) ▲임상 및 상업화 단계별 마일스톤 최대 20억6300만 파운드(3조9623억원)로 구성됐으며, 상업화 이후 로열티 수익도 포함된다.
계약의 핵심은 뇌혈관장벽(BBB)을 극복하는 자체 플랫폼 ‘그랩바디-B’ 기술력이다. IGF1R(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1 수용체)을 표적하는 이 기술은 뇌로의 약물 전달 효율이 높아 알츠하이머 등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특히 대부분의 BBB 셔틀 기술이 트랜스페린 수용체(TfR)에 의존하는 반면, 에이비엘바이오는 IGF1R 기반 기술을 독자 개발해 선택적 뇌 조직 표적성과 혈액 독성 우려를 줄인 차별화를 이뤘다. 업계는 GSK가 신경계 질환 포트폴리오 강화를 위한 전략적 기술 확보에 나선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앞서 알테오젠은 지난달 아스트라제네카 자회사 메디뮨과 총 13억5000만달러(약 2조원) 규모의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 계약은 선급금 4500만달러(660억원)과 마일스톤 13억500만달러(약 1조9200억원), 이후 로열티 수익으로 이뤄졌다.
알테오젠이 수출한 기술은 정맥주사를 피하주사(SC)로 전환하는 플랫폼 ‘ALT-B4’로, 항암제를 포함한 바이오의약품의 투여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기존 수시간 걸리던 정맥주사 대비 ALT-B4 적용 시 투여 시간은 약 5분 이내로, 환자의 편의성과 의료 자원 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ALT-B4는 피하 조직의 히알루론산을 분해해 약물 흡수를 개선하는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며, 제약사 입장에선 제형 특허 연장과 시장 지배력 확대 측면에서도 큰 이점이 있다. 현재 ALT-B4 기술은 머크, 산도즈, 다이이찌산쿄 등 다수 글로벌 제약사들이 확보 중이다.
바이오 업계에선 잇단 대규모 계약에 대해 “K바이오가 보유한 플랫폼 기술이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적 차별성과 상업적 가치를 인정받았다”는 데 의미를 뒀다. 이번 성과가 후속 국내 바이오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에 긍정적인 촉매 역할을 할 것이라는 평가다.
바이오 업계 한 관계자는 “연이은 기술수출 성과는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단순한 연구개발을 넘어 글로벌 빅파마(대형 제약사)의 핵심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 전략에 직결되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K바이오의 혁신 플랫폼들이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 수 있을지 기대가 모아진다”고 했다.
- [특징주] 에이비엘바이오, 4조원대 기술수출 계약에 상한가
- HLB發 불안감 확산…‘FDA 승인 좌초’ 후 바이오 투심 위축
- '한 방' 있는 K바이오…잇단 기술수출로 '글로벌 도약' 기대감↑
- [K블록버스터②] ‘쾌속 질주’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연매출 10억弗 목표”
- [인터뷰] 이승규 바이오협회 부회장 “기술 혁신 위해선 네거티브 규제 필요”
- 기술력 뽐내는 K바이오텍…올해도 '수출 대박' 기대감
- ‘제약 맏형’ 유한양행의 무한 저력…작년 이어 올해도 ‘실적 청신호’
- "주사형 '위고비' 넘어라"…이젠 '먹는 비만약' 개발 경쟁
-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 “혈뇌장벽 셔틀 플랫폼 확장…기술수출 본격화”
- 셀트리온 의약품, 중남미 의료진 ‘最선호 치료제’ 자리매김
- “혁신 견인 적임자”…한국다케다제약, 김미승 항암제사업부 총괄 선임
- 에이비엘바이오 "IGF1R 단일항체 유라시아 특허 결정"
- 에이비엘바이오, 바이오 코리아 2025 전시 참가
- 알테오젠, ‘CMC 전문가’ 이영필 전 진코어 대표 CPO로 영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