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신 씨어크테크놀로지 대표가 3일 서울 종로구 JW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에서 열린 '대웅제약 미디어 간담회'에서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 솔루션 씽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출처=EBN]](https://cdn.ebn.co.kr/news/photo/202502/1650267_662673_3027.png)
"씽크(thynC)는 심정지·패혈증·낙상 등을 감지하고 조기 경보를 제공해 즉각 대응이 가능해 환자 안전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에서는 씽크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어 환자 관리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더 나은 치료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영신 씨어크테크놀로지 대표는 3일 서울 종로구 JW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에서 열린 '대웅제약 미디어 간담회'에서 이 같이 말했다.
이날 간담회는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 솔루션 씽크가 국산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 최초로 '원격심박기술에 의한 감시(EX871)' 보험수가를 획득한 기념으로 열렸다.
현재 대웅제약과 씨어크테크놀로지는 계약을 맺고 씽크를 공급하고 있다. 씽크는 웨어러블(입는·wearable) 바이오센서·게이트웨이·대시보드·모바일 대시보드(태블릿)·모니터링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AI(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해 환자의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 및 관리한다.
웨어러블 바이오센서가 심전도·체온·산소포화도 등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AI로 분석해 실시간으로 의료진에게 전달해 환자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이 대표는 "현재 전공의와 간호사 등이 부족한 상황에서 의료 현장의 효율성과 환자 관리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번 보험수가 획득은 씽크의 기술력이 인정받은 중요한 이정표"라고 강조했다.
최근 의료 대란으로 인한 전공의 부족 사태는 의료 시스템의 새로운 도전 과제가 되고 있다. 간호사 중심의 공동 관리 체계에서 병동 업무 효율성과 병상 가동률 향상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른 것. 한국의 병상 수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의 3배에 달하지만 의사 수는 OECD 평균의 절반 수준이다.
이 대표는 "병동에 입원한 환자들을 퇴원할 때까지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씽크 시스템 개발의 주요 동기"라며 "씽크 시스템이 병원 내 스마트 병동의 중추 역할을 하며 지속적으로 진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대웅제약은 이번 씨어스테크롤로지의 씽크 보험수가 획득을 계기로 올 상반기 안에 스카이랩스의 반지형 연속혈압측정기 카트비피를 씽크에 연동시킬 계획이다.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더욱 확장하고 스마트한 의료 환경 구축에 박차를 가하겠단 심산이다.
조병하 대웅제약 마케팅사업부장은 "현재 씽크는 10개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향후 상급종합병원뿐만 아니라 준종합병원까지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심장내과・신경과・호흡기내과・외과・응급의학과・암병동 등 다양한 진료과에서 입원 환자의 건강 관리를 최적화하고 의료진은 효율적으로 환자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 [현장] "국민에 더 가깝고 빠른 의료"…대웅제약의 '디지털 헬스케어' 큰그림
- 삼성바이오의 CDMO 성공 '후광 효과'…후발주자도 기대감 '뿜뿜'
- 대웅제약, 제약사 첫 화합물 기탁…국내 신약 개발 역량 강화
- 대웅, 오가노이드 재생 치료제 기술 개발 착수…"재생의료 혁신"
- 대웅제약, ISO 37001 인증 6년 연속 유지
- 영향력 키우는 K-바이오시밀러…올해도 FDA 진출 러시
- 휴메딕스, 태국 시장 공략…HA 필러 품목 허가 획득
- 동국제약, 전립선 비대증 개량신약 ‘유레스코정’ 식약처 허가
- 침체 뚫고 순항할까…'새내기' 제약·바이오株에 쏠리는 시선
- 현대바이오-DNDi, 제프티 기반 뎅기 치료제 개발 협력
- 한미약품, 작년 1조4955억원 매출 달성…전년比 0.3%↑
- 전통제약사도 실적 성장 ‘악셀’…보령·유한, 매출 신기록 세울듯
- 대웅그룹, '성장형 인턴십' 통해 청년 인재 발굴 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