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출처=현대제철]](https://cdn.ebn.co.kr/news/photo/202502/1652611_665266_545.jpeg)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냉연 공장이 재가동된 지 불과 이틀 만에 다시 멈춰섰다. 노사가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파업이 재개된 것이다.
21일 <EBN 산업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당진제철소 1·2냉연 연속산세압연설비(PL/TCM) 조업직원은 지난 20일 오후 7시부터, 전기·기계 담당 직원은 오늘 오전 8시부터 부분 파업에 돌입했다. 지난 19일 부분 파업을 유예하고, 현장에 복귀한 지 이틀 만이다.
이번 부분 파업은 지난 19일 열린 22차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결렬된 데 따른 것이다. 노조는 이번 파업을 오는 3월 1일까지 진행하기로 했으며, 3월 계획은 추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노조는 지난 1~18일에도 해당 냉연라인에 대한 부분 파업을 진행한 바 있다. 당시 현대제철은 다른 공정에도 차질을 빚으며, 결국 냉연 공장 휴업을 결정했다. 이번 부분 파업 재개에 따른 공장 전체 휴업은 아직 결정된 바 없다.
현대제철 노사는 지난해 9월부터 임단협 협상을 이어왔으나,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한 채 교착 상태에 빠져 있다. 노조는 현대차그룹 내 다른 계열사와 동등한 수준의 임금 및 성과급 체계를 요구하고 있으나, 사측은 철강 업황 불황과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을 이유로 난색을 보이고 있다.
이달 들어 20~21차 교섭에서 일부 진전이 있었으나, 19일 열린 22차 교섭에서 양측은 다시 평행선을 달렸다.
사측은 20차 교섭에서 기본급 400%와 경영성과급 500만원을 제시했고, 21차 교섭에서는 경영성과급을 1000만원으로 상향했다. 노조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현대차 노사가 지난해 합의한 기본 성과급 500%, 경영성과급 1800만원, 자사주 25주 지급안과 비교하면 여전히 차이가 크다는 것이다.
22차 교섭에서 사측은 기본급 450%, 경영성과급 1000만원을 제안했지만, 노조는 이를 거부했다. 노조는 ▲차량 구매 대출 시 2년간 1000만원 무이자 대출 지원 ▲정년 퇴직자 대상 3년마다 20% 차량 할인 지원 등 복지 확대를 요구했으나, 사측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점을 문제 삼았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회사 상황이 어렵다는 점은 사측과 노조 모두 공감하고 있다"며 "원만한 협의를 위해 지속적으로 대화를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정부, 中 후판 반덤핑 과세 결정…최대 38% 부과
- 정부, 중국·일본 '저가' 열연강판價 조사…"韓 철강사 고사위기"
- [단독] '파업 일시 중단' 현대제철, 당진 냉연라인 재가동 '돌입'
- "韓 철강사, 트럼프發 철강 관세에 경쟁국보다 타격"
- 이계인 포스코인터 사장, 미국 방문 '韓 철강업계' 대변한다
- '재무통' 서강현, 현대제철 美 제철소 ‘10兆’ 조달에 쏠린 눈
- 현대차, 내달 첫 女 사내이사 선임 '예고'
- 현대제철 노조, 한남동 주택가 시위 두 달째…시민 불편 가중
- 현대제철, 성과급 협상 '적자' 우려 커진다
-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냉연라인 폐쇄…노사 갈등 고조
- 서강현號 현대제철, 노사 갈등 속 리더십 시험대
- 현대제철, 車강판 해외 판매 ↑…글로벌 '톱3' 도약 목표
- [단독] 현대제철 노조, 서강현 사장 호소에도 '파업' 연장한다
- [르포]한남동 정의선 자택 앞…절체절명 '시기' 현대제철 경쟁력은 파업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