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원장은 지난달 27일 서울 광화문 생명보험교육문화센터에서 생명·손해보험협회장 및 16개 주요 보험사 최고경영자(CEO) 간담회 를 개최했다.(앞줄 왼쪽부터) 조지은 라이나생명 대표이사, 조대규 교보생명 대표이사, 홍원학 삼성생명 대표이사, 여승주 한화생명 대표이사, 김철주 생명보험협회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이병래 손해보험협회장, 조용일 현대해상 대표이사, 구본욱 KB손보 대표이사, 원종규 코리안리 대표이사 [출처=금융감독원 ]
이복현 원장은 지난달 27일 서울 광화문 생명보험교육문화센터에서 생명·손해보험협회장 및 16개 주요 보험사 최고경영자(CEO) 간담회 를 개최했다.(앞줄 왼쪽부터) 조지은 라이나생명 대표이사, 조대규 교보생명 대표이사, 홍원학 삼성생명 대표이사, 여승주 한화생명 대표이사, 김철주 생명보험협회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이병래 손해보험협회장, 조용일 현대해상 대표이사, 구본욱 KB손보 대표이사, 원종규 코리안리 대표이사 [출처=금융감독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보험업계 최고경영자를 만났다. 이날 이 원장은 후순위채와 신종자본증권 등 보완자본 증가에 따른 보험사의 이자 부담을 줄이고자 자본규제 완화를 고려하기로 했다. 

이 원장은 지난달 27일 서울 광화문 생명보험교육문화센터에서 생명·손해보험협회장 및 16개 주요 보험사 최고경영자(CEO) 간담회 이후  “보험사의 질 좋은 자본을 만드는 방안과 보완자본 발행 등 이자 부담을 경감시킬 방안을 금융위원회와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통상 후순위채와 신종자본증권 등 빚을 내 자본을 보완하는 보험사의 관행이 근본적인 재무 건전성을 강화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꼬집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 원장은“금융시장 불확실성 증대, 금리 하락 등으로 보험회사 건전성에 대한 하방 압력이 증대될 수 있으므로, 재무영향 분석 등을 통해 리스크를 적정 수준으로 관리해달라”며 “금융당국도 보험회사가 자본적정성을 합리적으로 관리해 나가도록 자본규제 정비 등 제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