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연합]
[제공=연합]

삼성그룹이 지난해 국내 대기업그룹 시가총액 순위에서 1위를 지켰지만 시총 규모는 5년 만에 최소 규모에 머물렀다. 반도체 경쟁력에 비상이 걸린 삼성전자의 부진이 시총에 악영향을 준 결과다. 

조선 및 방산업 호황 효과를 누린 HD현대그룹과 한화그룹의 순위가 급등한 반면, 불과 3년 전 재계 10위였던 롯데그룹은 유동성 위기 속에 20위권 탈락을 걱정할 형편이 됐다.

29일 한국거래소가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대기업집단으로 지정한 그룹사의 시총(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 상장사 및 우선주 포함) 변화를 집계한 결과, 삼성그룹 시총은 지난해 말 기준 543조3330억원으로 전년 709조6920억원에 비해 23.44% 감소했다.

국내 대기업그룹 1위 자리는 확고부동했지만 시총 규모는 2019년 514조1120억원 이후 최소치로 급락했다. 

지난해 주가가 32.23% 하락한 삼성전자의 부진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SK그룹은 전년 대비 12.81% 증가한 202조7280억원으로 순위를 한 단계 끌어올리며 2021년 이후 3년 만에 2위 자리를 회복했다. 

LG그룹은 LG에너지솔루션과 LG화학이 이차전지와 석유화학 사업에서 고전한 결과, 그룹 시총이 144조6460억원으로 23.88% 감소하며 3위로 순위가 한 계단 내렸다. 

현대차그룹은 0.90% 증가한 시총 141조6520억원으로 4위를 유지했다.

5위는 123.93%의 증가율로 시총 76조8400억원을 기록한 HD현대그룹이 달성했다. 

HD현대그룹은 HD현대마린솔루션의 상장과 조선업 호황에 힘입어 전년도 10위에서 5계단이나 뛰어올랐다. 

이어 셀트리온그룹(43조610억원), 포스코그룹(42조5000억원), 한화그룹(41조4640억원), 카카오그룹(35조420억원), 네이버그룹(31조5130억원)이 10위권에 포함됐다.

한화그룹은 한화오션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조선 및 우주항공 계열사의 강세 속에 순위가 11위에서 8위로 상향됐다. 

2021년 10위였던 롯데그룹(13조770억원)은 2022년 11위, 2023년 12위에 이어 지난해 19위까지 순위가 급락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