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1/1650021_662417_4530.jpg)
삼성그룹이 지난해 국내 대기업그룹 시가총액 순위에서 1위를 지켰지만 시총 규모는 5년 만에 최소 규모에 머물렀다. 반도체 경쟁력에 비상이 걸린 삼성전자의 부진이 시총에 악영향을 준 결과다.
조선 및 방산업 호황 효과를 누린 HD현대그룹과 한화그룹의 순위가 급등한 반면, 불과 3년 전 재계 10위였던 롯데그룹은 유동성 위기 속에 20위권 탈락을 걱정할 형편이 됐다.
29일 한국거래소가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대기업집단으로 지정한 그룹사의 시총(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 상장사 및 우선주 포함) 변화를 집계한 결과, 삼성그룹 시총은 지난해 말 기준 543조3330억원으로 전년 709조6920억원에 비해 23.44% 감소했다.
국내 대기업그룹 1위 자리는 확고부동했지만 시총 규모는 2019년 514조1120억원 이후 최소치로 급락했다.
지난해 주가가 32.23% 하락한 삼성전자의 부진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SK그룹은 전년 대비 12.81% 증가한 202조7280억원으로 순위를 한 단계 끌어올리며 2021년 이후 3년 만에 2위 자리를 회복했다.
LG그룹은 LG에너지솔루션과 LG화학이 이차전지와 석유화학 사업에서 고전한 결과, 그룹 시총이 144조6460억원으로 23.88% 감소하며 3위로 순위가 한 계단 내렸다.
현대차그룹은 0.90% 증가한 시총 141조6520억원으로 4위를 유지했다.
5위는 123.93%의 증가율로 시총 76조8400억원을 기록한 HD현대그룹이 달성했다.
HD현대그룹은 HD현대마린솔루션의 상장과 조선업 호황에 힘입어 전년도 10위에서 5계단이나 뛰어올랐다.
이어 셀트리온그룹(43조610억원), 포스코그룹(42조5000억원), 한화그룹(41조4640억원), 카카오그룹(35조420억원), 네이버그룹(31조5130억원)이 10위권에 포함됐다.
한화그룹은 한화오션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조선 및 우주항공 계열사의 강세 속에 순위가 11위에서 8위로 상향됐다.
2021년 10위였던 롯데그룹(13조770억원)은 2022년 11위, 2023년 12위에 이어 지난해 19위까지 순위가 급락했다.
- 구글 주가, 분할 위기 속 200달러 선 돌파
- ‘불기둥’ 뿜는 삼천당제약 주가…찬물 끼얹는 ‘불성실공시’ 변수
- LG CNS, 일반 청약에 증거금 21조원 모여…경쟁률 123대 1
- 코스피, ‘외국인·기관’ 쌍끌이 매수…2540대 강세 마감
- [현장] 'IPO·상장폐지 개선' 밸류업 가속?…상장사·금투업계 부담 가중 우려도
- 현대차·기아 1차 협력사 매출 90조 돌파… 동반성장 빛났다
- [현장] 김병환 금융위원장 "밸류업 긴 호흡…IPO·상장폐지 개선해 모멘텀 유지"
- 증시 체질 바꾸기 드라이브…기업가치 중심 IPO·상장폐지 효율화
- 트럼프 취임 앞둔 비트코인 또 신고가…1억6000만원 돌파
- 트럼프 자체 '밈코인' 광풍…순식간에 시총 13조원 돌파
- 코스피, 외인·기관 '팔자'에 2520대 약보합…코스닥 강보합
- 12월 외국인 3조6490억 순매도…“5개월 연속 팔자”
- [EBN 칼럼] 시장친화적 금융정책 필요성
- 코스피, 尹 체포영장 집행에 외인 돌아와도 약보합…코스닥 0.9%↓
- 美 상무장관 지명자 "반도체 보조금 지급 재검토 필요"
- "ESG는 선택 아닌 필수"…현대그룹, 장애인 고용 ‘복지카페’ 개장
- 셀트리온 '베그젤마', 유럽서 처방 1위 기록…직접판매 전략 성공
- "조선ㆍ전력기기 덕분"…HD현대, 지난해 영업익 3兆 육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