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5일(현지시간) 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에 따른 한국 경제 영향은 제한적이며 경기침체 진입 우려도 과도하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이날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경기침체 진입 가능성에 관한 질의에 "너무 과도한 우려"라며 "국제통화기금(IMF)을 비롯한 국제기구나 한국은행의 내년도 성장 전망은 올해보다는 다소 낮아지지만 잠재성장률 수준이거나 잠재성장률에 근접한 수준이라고 본다"라고 밝혔다고 연합뉴스가 6일 새벽 전했다.
또 그는 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에 따른 한국 경제 및 시장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판단했다.
최 부총리는 "최근 비상계엄 조치가 헌법과 법률에 따라 신속히 해제됐기 때문에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제한적이었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시장이 잘 작동하고 있고 그 결과로 시장 안정성을 찾아가고 있다"며 "앞으로 만약에 불확실성이 커지더라도 시장과 관련된 지침이 작동을 하고 그에 잘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한국은행과 금융당국이 공동으로 시장에 유동성을 제한없이 공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또 "과거 사례를 봤을 때 외국인 투자자들은 경제 외적인 요소보다는 한국경제의 펀더멘털(기초여건)에 따라 투자심리에 영향을 받는다"라며 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 사태의 영향이 제한적인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한국 정부는 경제의 펀더멘털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며 "이것이 외국 투자자들이 한국에 더 투자하도록 만드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 [EBN 오늘(5일) 이슈 종합] 尹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보고, 계엄 후 '파업' 왔다…몸살 앓는 '한국 경제’ 등
- 계엄군 선관위 진입 논란, 헌법적 의문 제기…김 사무총장 “이유 알 수 없어”
- 검찰, ‘내란죄 고발’ 김용현 전 국방장관 출국금지
- 여행街까지 덮친 ‘계엄 후폭풍’…인바운드 영업 직격탄
- 계엄 후 애타는 산업부 “불확실성 극복 최우선“
- 계엄 후 '파업' 왔다…몸살 앓는 '한국 경제'
- 이창용 한은 총재 "비상계엄 사태 딛고 '금융시장 점진적 안정화' 기대"
- 최상목 "40조 채안펀드 및 회사채·CP 매입 프로그램도 가동"
- ‘비상계엄’ 후폭풍, 항공사 ‘환율변동’ 대응은
- [특징주] 이재명 테마주 ‘에이텍·동신건설’ 이틀째 상한가
- "국가 신뢰도 떨어지면 투자 악영향"…K-제약바이오, 계엄 불똥 '예의주시'
- 최상목 "40조 채안펀드 및 회사채·CP 매입 프로그램도 가동"
- "윤석열 퇴진하라"…완성차 노조, 일제히 부분 파업 '돌입'
- 개미 이어 외국인도 떠난다…코리아 엑소더스 언제까지
- 美언론, 尹대통령 탄핵안 발의로 한국 정치적 불확실성 증대
- 尹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보고…6일 새벽부터 표결 가능
- 대출 못갚은 개인·자영업자 614만명…연체액만 50조